*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포초골 미륵좌불 彌勒坐佛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5호



<포초골 미륵좌불>은 고려전기의 새로운 석불양식 성립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는 고려전기의 불상이다. 불상은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약 20년 전의 산사태로 인해 광배와 대좌석에 손상이 있어 이를 보수하였다. 대좌의 하대와 중대는 팔각, 상대는 원형이다. 하대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중대에는 각 면마다 안상을 두고 그 안에 보살입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상대에는 위로 향한 연꽃무늬가 이중으로 돌려져 있고 각 꽃잎 안에는 꽃무늬가 있다. 불상은 소발의 머리에 사각형 보개寶蓋를 쓰고 있다. 이러한 보개는 통일신라시대에는 볼 수 없는 양식으로, 10세기에 조성된 충남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을 비롯한 충청도와 경기 남부의 불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고려시대 전기의 특징이다.



포초골 미륵좌불 원경,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전체적으로 괴체감塊體感이 큰 불상은 하관이 발달한 이중 턱에 크고 둥근 얼굴로 눈썹은 둥글고 크게 자리하였으며 눈에 비해 코와 입은 작은 편이다. 목은 굵고 짧은 편이며 삼도를 뚜렷하게 표현하였다. 대의는 양 어깨를 덮고 흘러내리며, 양 팔을 감싸고 바깥쪽으로 흘러내린 대의의 옷주름은 도톰하게 표현하였다. 가슴에는 승기지僧祇支가 표현되고, 가로의 이중 띠를 가슴 중앙에서 묶었다. 뒷면에는 선각으로 옷주름의 흐름을 표현하였다. 괴체감이 크고 높은 무릎은 상체에 비해 큰 편이다.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에,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오른발 위에 올려 놓고 있는 항마촉지인의 손모습을 보이고 있다.



포초골 미륵좌불 정면, 2005 ©여주박물관 / 2007 ©여주박물관 /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포초골 미륵좌불 측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대좌의 구성이나 형식, 넓고 당당한 어깨, 안정감 있게 앉아 있는 자세, 매듭이나 주름의 흐름이 선명하고 유연한 세부 표현 기법 등은 통일신라 하대 불상양식을 잇고 있으나 머리의 사각형 보개와 괴체감이 강한 신체 표현, 그리고 대좌의 연꽃무늬를 새긴 수법 등에서 고려전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936년(고려 태조19) 경 고려 태조의 왕명으로 조성된 논산 개태사 석조삼존불상에는 이전에 볼 수 없던 기둥과 같은 괴체미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양식의 원류로 파악되기도 한다.


   포초골 미륵좌불 대좌,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고려시대

    규모/ 1구 / 170×90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여주시 금사면 발림길 89-47

    지정일/ 1973.07.10

    소유자/ 국유

    관리자/ 여주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