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현절사 顯節祠

경기도유형문화재 제4호




<현절사>는 병자호란(1636~1637) 때 청에 항복하기를 거부하다 중국 선양瀋陽으로 끌려가 처형당한 홍익한洪翼漢(1586~1637), 윤집尹集(1606~1637), 오달제吳達濟(1609~1637) 삼학사三學士의 우국충절憂國忠節을 기리기 위한 사당이다. 후에 김상헌金尙憲(1570 ~1652), 정온鄭蘊(1569~1641)의 위패도 함께 모셔졌으며, 1693년(숙종19)에 ‘현절사顯節祠’로 사액되었다.


 

현절사 사당, 1938~1939 ©국립중앙박물관                            현절사 전경, 1983 ©전국사찰현황실태조사서


이 사당은 1871년(고종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에도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전국 47개 서원 및 사당 중 하나이다. 1688년(숙종13) 사당이 완공된 이후 매년 음력 9월 10일 제사를 지내오고 있으며, 조선시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원칙에 따라 작은 규모의 제사 형식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현절사 전경, 2012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현절사 사당,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건물배치는 현재 사당과 내문, 동재, 서재, 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를 가진 이익공二翼工 형식의 건물로 홑처마의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정면 각 칸에는 사분합 띠살문을 달았으며, 측면과 후면은 화방벽으로, 전면은 개방된 퇴칸으로 되어있다. 동재와 서재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홑처마의 맞배지붕으로 되어있으며, 내문과 외문은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절사 전경, 2016 ©광주시


현재 현절사는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산성의 민속경관의 주요 요소로 포함되어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688년)

    규모/ 1동 / 사당 3×2칸, 동·서재 3x2칸

    재질/ 목재

    주소/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2-42

    지정일/ 1972.05.04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