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안양사 귀부 安養寺 龜趺

경기도유형문화재 제93호





<안양사 귀부>는 안양사 뒷산의 일명 거북골이라는 곳에 위치해 있었던 것을 안양사 대웅전 앞에 이전한 것으로 비신碑身과 이수螭首는 결실되고 귀부만 남아있다. 엎드려 있는 자세에 고개를 치켜드는 형태의 표현으로 인해 목이 짧아 거의 보이지 않으며 긴 수염이 달려있다. 양 발은 가지런히 놓여 있으며 앞발은 3조, 뒷발의 2조의 발톱을 조각하였다. 비늘이 표현되어 있고 등에는 육각형 2개가 중첩된 모습의 귀갑문龜甲文이 촘촘하며 등의 가운데에 장방형의 비좌碑座가 마련되어 있다.



안양사 귀부 평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안양사 귀부 정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안양사 귀부 배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비좌의 측면에는 구름 무늬가, 윗면에는 24엽의 복련이 조각되었다. 전반적인 형태가 1111년(예종6)에 조성된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慧德王師眞應塔碑와 형식적으로 친연성이 보여 제작 시기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양사 귀부 우측면 전경,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원래의 뒷산에서 현재의 안양사로 이운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나 『여지도서與地圖書』 등의 문헌기록에 안양사 경내에 김부식金富軾(1075~1151)이 찬한 비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귀부의 제작시기가 이와 비슷한 시기이고, 안양사安養寺 명문 기와가 출토된 중초사지中初寺址가 직선거리로 700여 미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 원래 안양사에 있었던 귀부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고려시대

    규모/ 1기 / 100×300×218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31번길 103

    지정일/ 1980.06.02

    소유자/ 안양사

    관리자/ 안양사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