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삼막사 마애삼존불 三幕寺 磨崖三尊佛

경기도유형문화재 제94호




<삼막사 마애삼존불>은 사찰 입구에서 오른쪽 계단을 따라 200m 올라가 남녀근석 뒤편 칠성각 내에 봉안되어 있다. 산등성이에 형성된 암벽에 얕게 감실을 파고, 중앙에 앉아있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중심으로 일광日光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이 좌우에 배치되었다.


삼막사 마애삼존불 전경,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치성광여래는 북극성이 불교에 결합한 것으로, 일월성수日月星宿를 권속으로 거느리며 재앙을 없애고 자손번성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부처이다. 본존은 둥근 얼굴에 머리는 소발素髮로 타원형의 정상계주와 반달모양의 중앙계주가 크게 표현되었다. 가늘게 뜬 눈, 삼각형 코, 작은 입, 어깨까지 길게 늘어진 귀의 표현 등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불상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특히 목이 거의 없으며, 불신佛身에 비하여 유난히 얼굴을 크게 강조한 점이 특징이다. 양손은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가지런히 모아 둥근 보주를 들고 있다. 착의법은 대의와 편삼을 걸친 변형편단우견으로, 대의자락이 오른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올라가 등으로 넘어간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덮은 승각기를 입고, 띠로 묶은 매듭이 새겨져 있다.



삼막사 마애삼존불,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결가부좌한 다리에 늘어진 대의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목조불상보다 평면적인 느낌이 강하다. 양쪽의 협시보살은 일광과 월광보살로 본존을 향하여 몸을 약간 틀고, 양손을 가지런히 합장하고 있다. 머리에는 높은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이목구비는 본존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만 얼굴이 본존에 비하여 가늘고 길어 인체의 비례가 적당한 편이다. 보살의 밑에는 커다란 연잎으로 이루어진 연화대좌를 깔고 있다.


    삼막사 마애삼존불 감실 밑 명문,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감실 밑에 있는 명문에 ‘乾隆二十八年癸未八月日化主悟心(건륭28년계미8월일화주오심)’, ‘首施主徐世俊(수시주서세준)’이라 음각으로 적혀 있어 1763년(영조39)에 승려 오심이 발원하고 서세준이 시주하여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763년)

    규모/ 1구

    / 본존불 150×66cm

    / 좌우협시 129×118×42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80

    지정일/ 1980.06.02

    소유자/ 삼막사

    관리자/ 삼막사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