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고양 원각사 달마대사관심론 高陽 元覺寺 達磨大師觀心論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42호




『달마대사관심론』은 중국 당나라의 선승 대통 신수大通 神秀(606~ 706)가 지은 책으로, 마음의 본성을 관조觀照하는 선종禪宗의 지침서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마음은 일체의 근본이고, 오직 마음의 발현이므로 마음을 깨달으면 일체를 갖추게 된다는 것, 그리고 관심觀心으로 청정한 자신의 본래 성품을 자각하면 무명無明이 제거되어 해탈에 이른다고 설명하며 '마음'을 살피는 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선종의 초조初祖 보리달마菩提達摩(?~528)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1932년에 가미오 이치하루神尾弌春가 돈황 출토본과 비교하고, 중국 당나라 승려 혜림慧琳의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에 명시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밝혀 바로 잡았다. 판식은 8행 17자로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 무계無界, 간혹 어미 아래에 대흑구大黑口가 보인다.


달마대사관심론 표지, 서문, 간행기록, 2015 ©불교학술원


권수의 서문에는 '박이성朴移成'이란 사람에 의해 '천순계미天順癸未'에 서문이 쓰여졌다는 기록이 있어 1463년(세조9)에 처음 만들어졌고, 본문의 끝에 '가정십칠년 무술嘉靖十七年 戊戌 전라도 고창 문수사 중침重鋟'이란 표현이 있어 1538년(중종33) 고창의 문수사에서 또 다시 번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간행기록 아래에 '성화性和, 조행祖行' 등 2인의 이름이 판각되어 있고, '화사化士, 정옥淨玉, 처순處淳' 등의 이름이 묵서로 기록되어 있어 간행에 동참했던 인물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현재까지 알려진 『관심론觀心論』 판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전래본이 거의 없는 희귀본이라 그 가치가 매우 높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538년)

    규모/ 1책 / 25×15.2cm

    재질/ 종이

    주소/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37-48

    지정일/ 2010.03.23

    소유자/ 원각사

    관리자/ 원각사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