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고양시 길상사 육경합부 高陽市 吉祥寺 六經合部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59호





<고양시 길상사 육경합부>는 선장본線裝本 1책으로 1491년(성종22)에 낙안 징광사澄光寺에서 간행한 목판본이다. 서지사항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에 계선은 없고, 반엽半葉 8행 17자이다. 『육경합부』는 조선초기에 널리 독송되었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 『대불정수릉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등 여섯 가지 경전을 휴대와 독송에 편리하도록 한데 모아 간행한 것이다. 책에는 ‘육경합부’라는 말이 보이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육경합부로 통칭하고 있다. 후대에는 이중에서 『금강경』, 『보문품』,『아미타경』만을 수록한 ‘삼경합부三經合部’ 판본이 자주 간행되기도 하였다. 


<고양시 길상사 육경합부> 표지,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권수,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육경합부』는 1424년(세종6)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에서 성달생成達生(1376~1444)이 필사한 안심사본을 저본으로 복각 간행한 판본이 많다. 길상사 『육경합부』 역시 서체가 비슷하여 안심사본을 바탕으로 판각한 것으로 생각된다. 『관세음보살예문』끝부분에는 ‘홍치사신해 유월 일 전라도낙안징광사개판弘治四辛亥 六月 日 全羅道樂安澄光寺開板’이라는 간행기록이 있어 1491년(성종22)에 낙안 징광사에서 판각된 목판본임을 알 수 있는데, 이 책은 징광사본의 후쇄본後印本이다. 징광사 판본은 현재까지 다른 곳에 남아 있지 않은 유일본으로 불서 판본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491년)

    규모/ 1책 / 30×18cm

    재질/ 종이(닥종이)

    주소/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로 36-17

    지정일/ 2011.10.04

    소유자/ 길상사

    관리자/ 길상사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