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驪州 桂信里 磨崖如來立像

경기도유형문화재 제98호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은 남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암자인 석불암石佛庵 부근에 위치해 있다. 원형의 광배光背와 연화문 대좌臺座를 모두 갖춰서 양각陽刻되어 있다. 광배는 3겹의 원형두광頭光이고 그 두광의 가장자리에 화염문이 선각으로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연화문 대좌는 선각으로 새겼으며 위에 양쪽으로 넓게 벌린 발이 낮은 부조浮彫로 표현되어 있다.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전경,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마애여래입상 근경,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마애여래입상의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위로 육계肉髻가 큼직하게 솟아있다. 넓적한 방형方形의 얼굴 양볼에는 살이 많이 올라있다. 얼굴의 이목구비가 비교적 세밀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귀가 길어 거의 어깨에 닿을 정도이다. 짧고 두툼한 목에는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다. 착의법을 살펴보면 양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으로 대의를 걸치고, 양쪽 팔을 감아 유려하게 흘러내리고 있다. 그 사이의 U자형 주름과 내의 띠 매듭, 왼쪽 어깨 부분의 대의를 고정시키는 고리 등이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어깨까지 올려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고, 왼손은 옆으로 내려 손바닥을 보이고 있다.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세부,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이 마애여래입상은 양감 있는 얼굴, 당당한 신체, 대의 안쪽의 띠 매듭, 왼쪽 어깨 위에 대의자락을 묶은 고리 장식 등의 표현이 여주 포초골 미륵좌불(경기도유형문화재 제35호)과 유사하다. 통일신라시대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 고려전기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고려시대

    규모/ 1구 / 223×46cm

    재질/ 석재

    주소/ 여주시 흥천면 계신리 559

    지정일/ 1980.06.02

    소유자/ 국유

    관리자/ 여주시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