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나만갑선생 신도비 羅萬甲先生 神道碑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26호




<나만갑선생 신도비>는 조선시대 문신인 나만갑의 행적을 기록한 비이다. 나만갑羅萬甲(1592~1642)은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몽뢰夢賚, 호는 구포鷗浦이며 나주 출신이다. 할아버지는 나윤침羅允忱이고, 아버지는 세자시강원보덕 나급羅級, 어머니는 한성참군漢城參軍 김호선金好善의 딸이다. 


나만갑선생 묘역,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정엽鄭曄의 문인이자 사위이다. 1613년(광해군5) 진사시에 수석으로 합격해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나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유폐사건西宮幽閉事件이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어머니를 모시고 귀향했다. 1636년(인조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단신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가 왕을 모시고 공조참의·병조참지로서 관향사가 되어 군량 공급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강화 후 무고를 받아 영해로 귀양갔다가 1639년(인조17) 풀려나와 영천榮川(지금의 榮州)에서 여생을 보냈다.


나만갑선생 신도비 전경,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나만갑선생 신도비,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저서로는 『병자록丙子錄』과 『구포집鷗浦集』이 있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옥개석을 올렸다. 비문은 좌의정 김상헌이 글을 짓고, 송준길이 글씨를 썼으며, 비의 명칭은 김수항이 새겼다.

비문의 내용은 나만갑의 조상들을 소개하고, 그의 청년시절, 관직생활, 병자호란 당시 부인과 자손들에 대한 공적을 적었다. 1658년(효종9)에 세웠으며, 1683년(숙종9) 그의 둘째 손자 나양좌羅良佐가 지금 자리로 묘를 옮긴 사실 등을 첨가하여 새겼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658년)

    규모/ 1기 / 355×104×29cm

    재질/ 석재(대리석)

    주소/ 구리시 사노동 산163

    지정일/ 1985.06.28

    소유자/ 안정나씨 종중

    관리자/ 안정나씨 종중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