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천년 장인발굴단 116

오학영, 평택, 기타

우리 소, 한우를 키우고, 닮아가는 우직한 축산장인

오학영 장인














진영농장을 운영하는 오학영 씨는 2012년 안성시 공도읍에 소재한 안성팜랜드에서 개최된

전국한우경진대회에서 최우수를 받았다.


전국 8개 도에서 115두가 출품돼 각 시·도별 한우 개량척도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열띤 경합의 자리에서 오학영 씨의 한우는 당당히 고급육생산 어미소 부문 최우수를 받았다.


최우수를 받은 소는 그 외모부터가 다른 소들과는 확연히 구별될 만큼 잘 생긴 외모를 자랑한다.


오학영 씨는 이전대회에도 전국대회에 나가 한국종축개량협회장상과 도지사상을 수상하기도

했는데 이는 모두 소들을 향한 오학영 씨의 남다른 애정에서부터 비롯된다.


현재 농장에는 150마리의 소가 있는데 우시장에 나가 다른 소들과 섞어놓아도 단박에 어떤 소가 우리농장 소인지 알 수 있다고 자부한다. 오학영 씨는 자동차정비 1급 자격증을 갖고 있다.


젊은 시절에는 나름대로 정비공에 대한 꿈을 갖고 정비공장에 취직해 일을 하기도 했지만 어느 순간 직장생활에 염증을 느껴 자신만의 정비공장을 차리고 싶다는 생각에 그 자금마련을 위해

농장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오학영 씨는 처음 농장을 할 당시 한우 3마리로 시작해서

한때 200마리까지 키우기도 했지만 축산업이 어려워지는 바람에 두수를 줄여

현재는 150마리를 혼자 키워내고 있다.


혼자 해야 하는 만큼 힘은 들지만 이제는 우사 청소를 비롯해 농장관리의 많은 부분이 기계화돼서 예전처럼 손이 많이 가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오학영 씨는 인내는 쓰나 그 열매는 달다는 말을 자주 생각하게 된다고 말한다. 젊어서는 왜 참아야 하는지 잘 몰랐지만 나이가 들수록 묵묵히 참고 인내하면 좋은 결과도 뒤따른다는 사실을 점차 깨닫게 된다고.


소와 함께 살아가는 동안 그는 성품도 어느새 소처럼 우직해지는 듯하다.


다부지게 일을 해내면서도 순박하게 웃음 짓는 그의 미소를 보고 있자니 어떤 바람이 불어도

끄떡없이 농사짓는 소처럼 우리 한우를 지켜가는 든든한 버팀목 같다는 생각에

어느새 마음마저 든든해진다.




세부정보

  • 문의/ ggma@ggcf.or.kr

    작성/ 경기도문화원연합회

    / http://kccfgg.org/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