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평택민요 平澤民謠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8호





평택민요는 경기도 평택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동요를 묶어 문화재로 지정한 것이다. 평택이 서해안과 맞닿아 있고, 넓은 농토를 포함한 지역이므로 논농사에 사용되는 농요와 바닷일에 부르는 어로요, 그리고 장례의식요의 세 가지 민요들을 한데 묶어 전승하고 있다.


농요 ©평택민요 보존회


농요로는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모내기소리인 ‘상사소리’를 노래하는데, 이 곡은 경기도 남부에서 널리 불리는 악곡 유형이다. 논은 초벌·재벌·만물의 세 차례에 걸쳐 김을 맨다. 이 때에는 두레를 조직하여 단체로 일을 하면서 노래를 한다. 초벌(애벌)매기에서는 흙이 덩어리져 있다는 의미의 ‘얼카덩어리소리’를 노래하며, 두벌(재벌)매기에서는 ‘어화 슬슬 대허리’라고 하여 한 번 허리를 굽혀 슬슬 흙을 풀어낸다는 의미의 후렴구를 가진 ‘대허리소리’를 부른다. 세벌(만물)매기에서는 ‘어기야― 흥에――에이어허라 방게흥게가 논다’의 ‘방개타령’을 부르는데, 사당패소리 계열의 방아타령 유형에 속한다.


어업요 ©평택민요 보존회


평택민요의 뱃소리(어업노동요)는 경기남부지역 유일의 뱃소리 민요로서 의의가 있다. 이 지역에서는 중선배를 타고 조기잡이를 하였으며, 이때 불렀던 뱃소리(어업노동요)로 ‘닻감는 소리’, ‘큰배 노젖는 소리’, ‘닻 내리는 소리’, ‘돌 옮기는 소리’, ‘아매/수해 내리는 소리’, ‘그물 뽑는 소리’, ‘줄 사리는 소리’, ‘그물 다는 소리’, ‘고기 되는 소리’ 등이 전승되고 있다.


장례요 ©평택민요 보존회


장례의식요는 맨 처음 발인제를 한 후 상여를 들어올리고 출발할 때에 ‘상여 어르는 소리’, ‘발인 소리’ 등을 자유 리듬으로 느리게 부른다. 상여를 운상하며 부르는 ‘긴상여소리-어거리넘차’와 ‘자진상여소리-너화 너화’의 두 곡이 전승되고 있다. 장지에 도착한 후 회를 다지며 부르는 회다지소리로는 ‘달공소리’가 있다. 위와 같이 평택민요에서는 농요와 어로요, 장례요 등 경기도 남부의 특색이 있는 소리들을 묶어 전승하고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주소/ 평택시 중앙로 277

    지정일/ 2009.03.19

    보유자

    / 평택민요 보존회(2009.06.29)

    / 이민조(농요, 2009.03.19)

    / 어영애(장례요, 2017.06.16)

    / 이의근, 인원환(어업요, 2017.06.16)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