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효명세자 예찰 孝明世子 睿札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07호





<효명세자 예찰>은 효명세자 이영孝明世子李旲(1809~30)이 큰외숙부 황산 김유근黃山金逌根(1785~1840)에게 보낸 8통의 편지 이다.

효명세자는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맏아들로 1812년(순조12) 7월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1819년(순조19) 10월 풍양조씨 영돈령부사 조만영趙萬永의 딸과 가례를 치렀다. 1827년(순조27) 2월부터 왕명으로 대리청정을 하던 중 1830년(순조30) 5월 6일 묘시 병사했다. 시호는 효명孝明이며 묘호廟號는 문호文祜, 묘호墓號는 연경延慶이다. 뒤에 아들 헌종이 즉위하면서 익종翼宗으로 추존되었다.


효명세자 예찰(시기미상), 2015 ©경기도


효명세자 예찰(1814~1819), 2015 ©경기도


효명세자 예찰(1824.9 이후), 2015 ©경기도


효명세자 예찰(1827.4.27), 2015 ©경기도


효명세자 예찰은 2008년 양평의 안동김씨 문정공파文正公派 후손으로부터 기증된 가전家傳 유물의 일부이다. 기증 당시의 간찰簡札과 각각의 피봉皮封을 최근 친환경농업박물관에서 배접褙接하였다.

수신자가 큰외삼촌 황산 김유근으로 정확하게 밝혀져 있다는 점, 효명세자가 유년시절부터 청년시절까지 여러 시기 걸쳐 쓴 간찰이란 점에서 조선시대 왕세자의 간찰로는 보기 드문 사례이다. 서체의 조형적 측면에서도 효명세자의 유년시절부터 청년기까지 필체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의식변화와 성정기질의 성숙과정까지도 읽어낼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어필 중 이런 사례는 정조가 동궁시절에 쓴 편지를 제외하면 사실상 없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8통

    / 33.7×47.8cm, 23.3×43.8cm

    / 22.3×42.9cm, 29.6×43.5cm

    / 31.5×43.4cm, 27×41.1cm

    / 32.5×43.6cm, 20.2×38.1cm

    재질/ 종이

    주소/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508-10

    지정일/ 2016.05.04

    소유자/ 양평군

    관리자/ 양평군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