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이완장군 묘 李浣將軍 墓

경기도기념물 제16호





조선중기의 무신 정익공 이완貞翼公李浣 장군과 부인 서산정씨瑞山鄭氏의 합장묘이다. 이완의 호는 매죽헌梅竹軒으로 1602년(선조35)에 출생하여 1674년(숙종1)에 사망하였으며, 1624년(인조2) 무과에 급제한 후, 1631년(인조9)에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병자호란에서 김자점金自點의 별장으로 출전하여 정방산성正方山城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이후 경기도 수군절도사, 훈련대장과 병조판서의 임무를 맡아서 북벌을 준비하였다.

표류로 제주도에 도착한 네덜란드인 하멜을 시켜 신무기를 만들게 하였으며, 성곽의 개조와 신축 등을 추진해나갔다. 그러나 효종이 재위 10년 만에 승하하자 북벌 계획이 중지되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 현종 때에는 수어사로 임명되었고, 포도대장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다.



이완장군 묘 전경,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이완장군 묘,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이완장군 묘, 2000 ©남양주시


묘역은 곡장이 둘러져 있으며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 봉분과 비석이 있다. 봉분 동측에 이수방부형螭首方趺形 비석이 있는데,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지었으며 이수螭首는 뿔이 달린 쌍룡이 여의주를 탐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석 윗면에는 연판을 조각하고 옆면에는 당초문과 연주聯珠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봉분 정면에는 혼유석과 상석, 향로석이 놓여 있으며, 상석의 뒤는 계체석이 받치고, 앞은 2개의 고석이 받치고 있다. 고석에는 고리 장식이 조각되어 있고 상석의 동편에는 장식 없는 육면체의 준석樽石이 있다.


이완장군 묘 묘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이완장군 신도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하단 좌우에는 곡장 우석隅石의 선에 맞추어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 1쌍씩 배치되어 있다. 망주석은 대석일체형이며 주두에는 원수圓首 아래 운각雲角과 염우廉隅, 주신에는 매듭모양의 세호細虎를 정교하게 새겼고 대석에는 연판문과 운각을 장식했다. 양관조복형梁冠朝服形 문인석은 비례와 입체감 등에서 조각 수준이 돋보인다. 머리에 쓴 관의 모양이 사실적이며, 관 오른쪽에 있는 비녀 머리를 꽃모양으로 장식했다. 후수後綬와 폐슬蔽膝에도 구름무늬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장명등과 동자석은 1998년에 도난당하여 근래에 새로 설치했다. 묘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의 신도비는 1688년(숙종14) 표석과 같은 재료와 조각 수준으로 제작되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기

    / 단분, 상석 1기, 향로석 1기, 혼유석 1기, 장명등 1기, 문인석 1쌍, 망주석 1쌍, 동자석 1쌍, 산신석 1기, 묘비 1기, 신도비 1기

    주소/ 여주시 상거동 산19-18

    지정일/ 1973.07.10

    소유자/ 이규선

    관리자/ 이종갑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