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평택민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8호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에서 2017년 발행한 경기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합 안내서입니다. 이 책은 기능보유자와 예능보유자 66명의 삶을 조망하고 보유 종목에 대한 소개와 다양한 단체에서 제공한 진귀한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지씨에서는 이 책에 소개된 경기도의 무형문화재를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전문 보기



평택은 먹고 살기에 적당한 지리적 이점을 타고난 곳이다. 약간의 구릉을 제외하면 대부분 평탄한 지형이고, 물이 풍부해 논농사를 하기에 적당하다. 또 서쪽으로는 아산만과 남양만을 접하고 있어 어업도 가능했다.


경기도 내 민요의 대부분이 농사를 지으며 부르는 노동요 성격이 강한데, 평택민요에는 농사를 지으며 부르는 노래와 함께 어업과 관련된 어업요도 존재한다. 민요가 민중의 삶 속에서 체화된 정서를 노래로 승화한 예술이라면, 평택민요는 다양한 자연과 맞닿은 지리적 이점 덕에, 보다 풍요로운 문화 정서가 녹아있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평택민요에는 평택두레소리와 평택갯가소리, 평택상여소리 등 3가지 민요가 전승되고 있다. 팽택의 대표 두레소리는 ‘모내기 소리’와 ‘김매기 소리’가 있다. 모내기소리는 경기 남부 소리의 특징을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는 ‘상사소리’ 계통이다. “북답이라 좋은 논에 왼갖 벼를 심어보세/ 에- 헤 여기도 모심었네 어럴럴럴 상사디야”


김매기소리는 초벌과 두벌, 만물매기에 걸쳐 행해진다. 만물의 김매기가 끝나는 백중 날까지 두레꾼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매일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이 소리들은 매우 정교하게 발달됐는데, 초발 매기에서는 지역에 따라 “올라가서”라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얼카덩어리”를 후렴으로 사용한다. 두벌 김매기는 “어화 슬슬 대허리”라 부르고, 세벌 김매기 때 “어기야- 흥에- 에이어허라 방게흥게가 논다”라고 전승된다.


평택민요는 다른 민요와 마찬가지로 일년 농사의 전 과정을 토대로 불리는 노동요다. 김매기가 끝나는 백중날이 지니면, 한 해 농사에 필요한 노동은 일단 한시름 놓는 셈이라, 김매기 소리는 농사를 잘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두레꾼을 북돋는 중요한 소리다.




경기 남부 지역에 존재하는 유일한 뱃소리인 평택갯가소리는 주로 평택 신왕리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데, 평택 인근 중소규모 하천이 평택호와 합쳐져 황해로 빠져 나가는 덕에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해 예부터 신왕리는 어종이 풍부했다고 전해진다.


‘닻 감는 소리’ ‘큰 배 노 젓는 소리’ ‘닻 내리는 소리’ ‘돌 옮기는 소리’ ‘아매·수해 내리는 소리’ ‘그물 뽑는 소리’ ‘줄 사리는 소리’ ‘그물 다는 소리’ ‘고기 되는 소리’ 등 평택 갯가소리에는 어업작업의 전 과정이 녹아 있고 이 역시 보기 드문 형태라 한다.


신왕리는 중선을 끌고 나가 그물을 쳐 고기를 잡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했고 선후창 형식의 메기고 받는 소리가 발달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선후창 형식 뿐 아니라 메기고 받는 소리가 서로 맞물리기도 하고 엇물리기도 하면서 변형된 소리로도 불렸다.


하지만 1973년 방조제 공사가 시작돼 바닷길이 막히면서 화려했던 과거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소리로서만 그 과거를 알 수 있을 뿐이다.


평택의 장례의식요는 ‘상여소리’와 ‘회다지소리’로 나뉜다. 타 지역과 비슷한 형태를 띠는데, 상여가 나갈 때는 ‘긴 상여소리’와 ‘자진상여소리’를 불렀고 봉분을 다지며 부르는 ‘회다지소리’가 있었다.


2009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된 평택민요는 현재 장례요 어영애보유자가 평택민요보존회의 단장으로 활동하며 활발한 전승사업에 나서고 있다. 경기도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물론, 매년 16회 이상의 상설공연을 열고 어린이 대상의 전통민속 프로그램, 무료시민강좌, 평택민요 전승학교, 재능기부 활동 및 공연 등 다채로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농요> 공연中 풍년놀이


<장례요> 공연中 앉은상여



* 영상자료 : 경기학연구센터(http://cfgs.ggcf.kr/)>센터자료>영상자료 '삶의 소리, 흥의 소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8호 평택민요


지정일2009. 3. 19(농요) / 2009. 6. 19(장례요,어업요)
보유자이민조(농요), 이의근, 인원환(어업요), 어영애(장래요)
전수조교어영애(농요)
보존회평택민요보존회
전수관한국소리터
정보

홈페이지 : https://www.pt-minyo.or.kr

특기사항

상설공연, 정기공연, 찾아가는 문화활동, 지역무형문화재 보존전승사업, 무료시민강좌,

평택민요전승학교, 재능기부 활동·공연, 펑택민요경연대회 등 다양한 전승, 현양활동을 펼치고 있음


세부정보

  •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발행처/ 경기도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문의/ 031-231-8576(경기학연구센터 담당 김성태)

    발행일/ 2017.12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