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영은미술관

[영은미술관] 산 깊은 모양

2019-08-24 ~ 2019-09-22 / 영은창작스튜디오 11기 입주작가 개인展 한홍수


《산 깊은 모양_𡿡(령)_Haut-fond 》라는 제목으로 2019년 8월 24일부터 9월 22일까지

영은미술관 2전시실에서 전시 개최

*전시 오프닝: 2019년 8월 31일 토요일 오후 2시


 영은미술관은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일환으로 진행되는 영은 창작스튜디오 11기 입주 작가 한홍수의 ‘산 깊은 모양_𡿡(령)’展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의 주제는 ‘산 깊은 모양’으로, 생소한 한자 인 𡿡(령)으로 전시 제목에 대해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관람자는 전시장에 들어서게 되는 순간, 첫 눈에는 산 속 깊은 골짜기의 풍경을 보게 된다. 그러나 이내 그 골짜기를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형상은 사람 몸의 한 부분의 겹쳐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렇게 한홍수 작가는 “인체를 풍경처럼, 풍경을 인체처럼“ 그리는 작가이고, 그의 작품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두 가지 주제는 ‘인체’와 ‘풍경’이다.



▲ 기원의 뒷면(Verso of the Origin), Oil on Canvs, 162.2x130.3cm, 2019


 한홍수 작가는 더운 여름, 자연 본연의 모습이 절정에 이른 시기에 영은미술관 창작 스튜디오에 입주해 매일 하나씩 자화상을 그렸다. 이 같은 반복적인 그리기는, 시시각각 다른 모습이지만 동시에 일상 속 작은 변화는 느낄 수 없는 자연의 풍경과 닮아 있다. 이는 본인 스스로에 대한 일기 같은 관찰과 기록의 의미이며 화가로서 스스로에 대한 단련이다. 매일 하는 드로잉, 즉 그리기의 반복은 작업 방식에서도 동일한 지점을 보여준다. 한 눈에 보기에 깊은 산 속의 영묘(靈妙)한 골짜기처럼 보이는 그림은 사실, 인체 한 부분의 수많은 겹침으로 표현된다. 작가는 “인체를 풍경처럼, 풍경을 인체처럼” 그리며, 이는 또한 작가가 가장 주목하는 두 가지 주제이다.


  작품은 부드러운 붓으로 유화물감을 얇게 하여 서른 겹 이상 덧칠하여 그리는 방식으로 작업되며, 경계선이 흐릿해지도록 여러 번 겹쳐 칠하기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는 일종의 정화를 경험한다. 이런 결과물을 감상하는 관람객은 첫 눈에는 큰 풍경을, 그 다음 구체적으로 그려진 무언가를 보게 된다. 반복된 덧칠로 흐릿해진 경계선을 넘나들 듯이, 무엇이 그려진 것인가 생각하면서 생기는 애매한 감정은 “인체와 풍경“이라는 서로 다른 세계를 이동한다. 이런 과정에서 관람객은 작품을 통해 작가가 꾸준히 추구해 온 “양의성”을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 한홍수, 경치(Landscape), 162.2x130.3cm, Oil on Canvas, 2019


“작업을 보는이가 회화에서 구체적으로 그러진 그 자체를 보는 것도 있지만 그것을 봄으로써 다른 세계로 감성이 이동하는 것을 추구하고 싶다. 나의 예술 철학은 양의성을 지향한다. 즉 동양과 서양, 영원과 현재, 이상과 현실, 예술과 예술가의 삶, 초월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성(聖)스러움과 성(性)스러움의 양극을 방황하고 오간다.” (작가노트 中)


▲ 한홍수, 겹(Layer), 162x2.130.3cm, Oil on Canvas, 2019



  산 속 깊이 존재하는 듯 보이는 골짜기의 성(聖)스러운 풍경과 그것을 이루고 있는 인체 형상의 성(性)스러움, 이 두 가지 반대적인 특성을 하나의 캔버스 안에 담고 있는 작품으로 구성된 전시장에서 관람객은 현대의 회화작품에 대한 한홍수만의 조형언어를 볼 수 있다. 또한 평면의 회화 작품에 이렇듯 다양한 감정의 흐름을 담은 작품에서 하루하루 자기를 단련하는 화가의 치열한 일상과, 눈에 보이는 풍경과 그 풍경 안에 무엇인가가 그려진 구체적인 무엇을 보면서 감성의 이동을 체험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세부정보

  • 영은미술관

    주소/ 경기도 광주시 청석로 300(쌍령동 8-1)

    운영/ 10:00-18:00(동절기) 10:00-18:30(하절기)

    입장료/ 성인 6000원 학생 4000원 어린이 3000원

    주차/ 주차가능

    문의/ 031-761-0137

    홈페이지/ http://www.youngeunmuseum.org/

@참여자

글쓴이
영은미술관
자기소개
재단법인 대유문화재단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림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크게 미술관과 창작스튜디오로 구분되어 이 두 기능이 상호분리되고 또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미술관은 한국예술문화의 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유문화재단의 설립(1992년)과 함께 200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영은미술관은 동시대 현대미술 작품을 연구, 소장, 전시하는 현대미술관 (Museum of Contemporary Art)이며 또한 국내 초유의 창작스튜디오를 겸비한 복합문화시설로, 미술품의 보존과 전시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미술관 형태를 과감히 변화시켜 미술관 자체가 살아있는 창작의 현장이면서 작가와 작가, 작가와 평론가와 기획자, 대중이 살아있는 미술(Living Art)과 함께 만나는 장을 지향목표로 삼고 있다. 종합미술문화단지의 성격을 지향하는 영은미술관은 조형예술, 공연예술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예술을 수용하고 창작, 연구, 전시, 교육 서비스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여 참여계층을 개방하고 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문화촉매공간이 되기를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