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도 문화예술 매거진_ggc

[국립현대미술관]2021~22년 해외교류전 개최

미국의 구겐하임미술관 LA카운티미술관, 중국의 중국미술관, 독일의 칼스루헤 미디어아트센터(ZKM) 등 세계 유수의 미술기관과 공동기획 교류전 확정



▲ [ZKM] 국립현대미술관 《김순기》 전시 전경.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한국미술을 세계에 알리는 국제화 사업의 일환으로 2021~2022년 미국 뉴욕 구겐하임미술관, LA카운티미술관, 중국 중국미술관, 독일 칼스루헤 미디어아트센터(ZKM) 등 해외 주요 미술기관과 공동기획 교류전 개최를 확정했습니다.


먼저 미국 동부 지역을 대표하는 뉴욕의 구겐하임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과 《아방가르드: 1960~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전을 공동 기획합니다. 이 전시는 한국 미술사를 맥락으로 《청년작가연립전》(1967)부터, 《AG》전(1969-1975), (1979~1980) 그룹 등 당시의 실험 미술 활동을 담은 주요 작품 및 자료들과 함께 이강소, 이건용, 이승택, 김구림, 성능경 등 대표 미술가들의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며 2022년 양 기관에서 순차적으로 개최될 예정입니다. 특히 《청년작가연립전》은 국전 중심의 구상회화와 앵포르멜이 중심이던 한국화단에 탈평면적 실험예술을 선보인 첫 시도였으며, 그룹은 당시 한국미술의 딜레마로 언급되던 논리와 분석의 부재를 오브제와 입체, 이벤트로서 극복하고자 한 선구적 집단으로서 의의를 지닙니다. 이번 교류전에서는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실험미술의 맥을 짚어내는 전시, 출판, 학술행사가 양 기관의 공동연구와 협업을 통해 총망라됩니다.



▲ [LACMA] 이쾌대, 푸른 두루마기를 입은 자화상, 1940년대 후반, 캔버스에 유채, 72 × 60 cm, 개인 소장


미국 서부 지역 최고의 현대미술관으로 손꼽히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미술관(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에서는 한국 근대미술을 주제로 한 기획전이 2022년 가을 개최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근대미술을 주제로 한 전시가 일본에서는 개최된 바 있으나 미국이나 유럽에서 이 시기 한국미술에 주목한 기획전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LACMA와 전시 공동주최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올해 6월 체결하고, 전시 개최를 위한 공동 연구와 실무 협력을 약속했습니다. 전시는 1900년대부터 1960년대 한국 근대기 주요 작가의 대표작을 대거 선보일 계획입니다. 유화, 한국화 뿐 아니라 당시 사진 자료를 통해 시대상을 소개함으로써 한국 역사와 미술의 역동성을 세계에 알리는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국미술관] 지난 6월 중국미술관에서 만난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과 우웨이산(吳爲山) 중국미술관장


또한 중국의 국립현대미술관에 해당하는 중국미술관(中國美術館)과는 2022년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아 소장품 교류전 및 국제학술행사를 공동 개최합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중국미술관은 전시교류 및 공동 학술연구, 인적교류에 대한 MOU를 올해 6월 체결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중국미술관 소장 서비홍, 임풍면, 반천수, 부포석, 우비암, 오창석, 조지겸, 제백석, 오작인 등 중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품들이 소개되며, 중국미술관에서는 한국 근·현대미술 대표작들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통해 집중 조명한 한국 작가에 대한 해외미술계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독일 미디어아트센터 ZKM에서는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한 《김순기: 게으른 구름》 순회전을 제안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2019년 ZKM에서 개최된 피터 바이벨(Peter Weibel) 회고전을 서울에서 개최하는 업무협약(MOU)을 지난 2월 체결했습니다. 2021~2022년 사이에 진행되는 양 기관 교류전은 코로나19로 작품 운송 등 전시 진행 방식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뜻을 모아 새로운 국제교류전 형식을 구현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논의 중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2018년 개최한 《윤형근 1928-2007》전을 이탈리아 포르투니미술관 초청으로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기간 동안 순회시킨 바 있습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공동기획 교류전을 통해 앞으로도 한국미술의 진면목을 세계에 알리는 데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글쓴이
경기도 문화예술 매거진_ggc
자기소개
경기도의 문화예술 소식을 전하는 ggc 매거진입니다. 도내 다양한 문화예술 정보와 콘텐츠를 발빠르게 전하겠습니다. 오늘도 ggc 매거진에서 문화예술 한 스푼 함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