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박물관
새롭게 만나는 경기도 박물관 4
천하의 중심 고려, 고려 인구 25% 서울·경기에 모여 살았다
2020 중부일보 연재 시리즈 〈새롭게 만나는 경기도 박물관〉은 개관 25주년을 맞이하여 전시실 전면 개편을 진행한 경기도박물관이 중부일보와 함께 2020.06.28부터 2020.09.20까지 총 10회 시리즈로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더 자세한 〈새롭게 만나는 경기도 박물관〉을 만나보고 싶으시다면, 중부일보 홈페이지에서 원문으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 |
천하의 중심 고려, 고려의 중심 경기
10~13세기 동아시아의 세계관
10~13세기 동아시아에는 여러 나라들이 있었다. 10세기 전반 중국 중남부에는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의 5대와 오·남당·오월·민·형남·초·남한·전촉·후촉·북한의 10국이 할거했다. 이들은 송으로 통일되었다. 북부에는 고구려계 유민과 말갈족의 발해를 멸망시킨(10세기 전반) 거란족의 요(遼)가 있었다. 요나라는 또 여진족의 금(金)에게 멸망했다(12세기 전반). 또 중국 서북부에는 티벳 계통의 서하가 있었고, 고려의 남쪽에는 일본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자신들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세계관(천하관)을 가졌다. 고려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천하를 다스리기 위한 황제제도를 운영했다. 각국의 국왕은 황상(皇上), 황제로 불렸고, 이를 뒷받침하는 국가시스템을 작동시켰다. 그러면서도 교류에서 힘의 균형이 비슷하면 교린(交隣) 관계를, 그렇지 못하고 다른 한쪽에 쏠리면 작은 나라인 제후가 큰 나라인 황제를 섬기는 사대(事大) 관계를 맺었다. 그렇지만 사대관계를 맺었더라도 국내에서의 황제제도는 그대로 운영되었다. 중국 남부의 송과 북방의 거란은 각각 동아시아의 패자를 자처하며 경쟁 관계였지만, 한때 송은 거란과 사대 관계를 형성하였다. 금나라에서 고려에 보낸 공문에 고려국왕은 ‘고려국황제’로 쓰여 있었다.
청백자 꽃 모양 접시
송나라에서 고려에 들어온 꽃모양이다. 양국의 교류관계를 보여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천하의 중심, 해동천하 고려
고려가 운영했던 세계는 해동천하(海東天下)였다. ‘해동(海東)’이란 지리적으로 “중국 바다의 동쪽”이란 뜻으로, 고려 이전시기부터 동아시아 각국에서 우리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고려 사람들은 ‘해동(고려)’이 중국과 구분되는 역사문화를 가진 곳이라는 뜻에서 별건곤(別乾坤)이라고 했다. 여기서 ‘건곤’이란 ‘하늘과 땅’, ‘세상’이란 말로, 중국과 뚜렷이 구별[別]되는 또 다른 ‘건곤(세계)’이 해동천하 고려였다.
고려는 대내외적으로 황제의 나라를 표방하였다.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자신들의 천하가 독자적인 천명을 받았다는 상징으로 연호(年號)를 사용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의 연호는 ‘천수(天授)’였다. 고려의 건국이 하늘에서 받은 명령을 따른 것이라는 뜻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태조1년, 태조2년 등의 기년(紀年)을 당시 사람들은 천수1년, 천수2년으로 사용했다. 또 그의 아들 광종은 ‘준풍(埈豊)’이란 연호를 제정했다.
1992년 개성에 있는 현릉(왕건릉)을 수리하다가 해동천자(海東天子)인 왕건의 모습을 실물 크기로 만든 왕건상(王建像)이 수습되었다. 청동으로 만든 이 조각상은 황제국의 또 다른 장치로 수도인 개경을 황도(皇都)로 정한 광종 때 만들어져 태조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봉은사(奉恩寺)라는 사찰에 모셔졌다. 황제가 쓰는 통천관을 머리에 쓴 나체의 왕건상은 앉은 모습으로, 매년 황제의 옷인 황의(黃衣) 또는 청의(靑衣)를 번갈아 입었고 옥으로 만든 허리띠를 찼다. 고려 황실에서는 매년 2월의 연등회와 6월의 기일, 그리고 천도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할 때마다 제사하며 나라의 평안을 기도했다. 조선 건국 후에는 고려 왕실의 사당으로 세워진 숭의전(연천)으로 옮겨졌다가 세종 때 다른 고려황제의 초상과 함께 왕건릉 주변에 묻혔다가 발견된 것이다.
고려 태조 왕건상
왕건상은 황제를 상징하는 황의(黃衣)를 입었고, 안면, 입술, 눈 등에도 살아있는 사람과 같이 염료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였다. 현재는 평양의 조선중앙력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려에서는 제왕부(諸王府)가 운영되었다. 황제와 태자를 제외한 왕자, 궁주(공주) 등은 여기에 소속되어 남성의 경우 조선국공(朝鮮國公), 낙랑국공, 진한국공, 여성의 경우 조선국대부인, 변한국대부인 등으로 봉해졌다. 고려에 앞서 있었던 나라들의 역사문화를 계승한다는 뜻이 담겨져 있었다. 또 여진과 탐라는 번국(藩國, 제후국)으로 여겨져 고려에서는 그 추장에게 벼슬을 주어 관리했고, 그 사절들은 대표적인 축제인 팔관회에 참석하여 고려황제에게 예를 갖추어 선물을 바쳤다. 이때 송·거란·일본·동남아시아는 물론 아라비아상인들도 참석하여 교역하였다. 현재 개성시 개풍구역 신서리에 있는 벽란도는 교역의 중심이었고, 그곳에는 외국상인들이 묵는 여관인 벽란정이 있었다.
고려의 중심, 경기
우리 역사에서 ‘경기’ 제도의 시작은 1018년(고려 현종 9)이다. 고려시대의 ‘경기’는 고려의 황도인 개경(개성)을 중심으로 황해도 일부와 현재 경기 북부를 범위로 했는데, 황도를 아우르는 12~13개 군현(시군)로 구성되었다. 이때 ‘경기’는 황기(皇畿)라고도 불렸는데, 지금의 국무총리실 격인 상서도성에 소속되어있거나, 개성부라는 특별행정구역에 속해있어 현재의 모습과는 조금 달랐다. 경기인(京畿人)들은 황기인(皇畿人)이었다.
동여비고
고려시대 경기도 주변을 그린 지도이다. 현재 경기도는 31개 시군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고려의 경기는 13개 군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려의 경기는 해동천자가 펼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이었다. 경기에서는 국내의 다른 지역은 물론,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빈번한 교류가 이루어져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갔다. 경기인들은 그 중심에 있었다. 송나라 역사책인 《송사》에서는 12세기 고려 인구를 210만으로, 《고려사》에서는 몽고군의 침입을 피하기 위해 강화로 도읍을 옮길 때인 13세기 중엽의 경도京都(개경) 인구를 10만호으로 기록하고 있다. 1호의 인구수를 4~5명으로 볼 때, 40~50만명으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런데 경도는 왕경을 이르는 것으로, 왕성王城 안의 인구를 40~50만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 숫자는 개경과 경기가 포함된 왕경개성부의 호수와 인구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당시에도 전체 인구 25% 정도가 서울과 경기에 모여살고 있었다. 그들은 각종 토목공사와 연등회·팔관회 등에 노역과 공물을 납부하면서 고려황제의 시혜를 동시에 받는 존재였다. 또 11세기 활동했던 경기인 한안인(韓安仁)은 왕실을 제외하고 최초로 본관 지역으로 경기의 장단[湍州, 현재 파주]을 받기도 했다.
고려인의 얼굴을 새긴 기와
죽주(안성) 봉업사터에서 출토된 기와 조각이다. 당시 죽주에 살던 사람인지, 봉업사에서 수도하던 스님인지 모르겠다. 봉업사는 태조 왕건의 초상을 모시고 있던 몇 되지 않는 진전사원이었다.
경기인들은 귀화하여 인근지역에서 마을을 이루며 살고 있던 발해, 거란, 여진 출신들과 어울리며 그들의 문화를 포용했다. 고려의 금속공예품에서 확인되는 북방 요소들은 이와 관련이 있다. 또 그들은 개경에 있던 몽고식 만두집인 쌍화점에서 아라비아사람들을 접하기도 했다. 경기문화는 그런 가운데 만들어졌다. 그런 경기인들의 ‘경기인’에 대한 정체성은 현재와 비슷한 같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경기도박물관의 새로운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된다.
김성환 경기도박물관장
2020 중부일보 연재 시리즈〈새롭게 만나는 경기도박물관〉이 궁금하다면? [바로가기]
|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