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팅룸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미술관(2)
황정인
교육 전문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
코로나 상황으로 모든 교육기관이 비대면 방식의 교육 체제로 전환하면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다양한 교육 방식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사실 비대면 교육 시스템은 코로나 상황 이전부터 원격학습(distance learning)의 형식으로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되어 온 교육 방식이다. 2012년 대규모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공개 수업(Massive Open Online Course, 이하 MOOC)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전 세계 대학과 문화예술기관의 강의를 유·무료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는 플랫폼이 대거 등장했고*, 이것은 문화예술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도 박차를 가했다. 코로나 상황에 관계없이 해외의 주요 문화예술기관은 기존의 전시연계 행사로서 교육프로그램을 국한시켰던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배급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대안적 의미의 미술교육기관이자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그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 플랫폼인 K-MOOC가 첫 선을 보였다.
- MOOC의 개념을 도식화한 매튜 플러드(Mathieu Plourde)의 MOOC 포스터 -
(MOOC poster April 4, 2013 by Mathieu Plourde licensed CC-BY on Flickr, explores the meaning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ka MOOCs.)
뉴욕현대미술관의 온라인 공개 수업
뉴욕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 MoMA, 이하 모마)은 대표적인 MOOC 플랫폼 중 하나인 코세라(Coursera)*를 통해 현대미술과 디자인에 관한 특화 과정과 더불어 스튜디오를 통해 보는 전후추상회화, 미술과 개념을 통한 주제별 학습 지도, 학교 강의를 위한 미술관 교육 전략, 사진으로 세상보기, 예술과 연계하기 위한 참여형 전략 등의 주제별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강좌는 짧게는 4주, 길게는 7개월간의 과정을 거쳐 수강이 가능하며, 교육, 영상, 건축 및 디자인, 사진, 드로잉 및 프린트, 미디어 및 퍼포먼스 등 뉴욕현대미술관 6개 분과에서 근무하는 14명의 전문가가 강의를 맡아 진행한다. 모든 강좌는 미술관의 소장품과 작가 연구 데이터베이스, 미술관 전문 인력과 네트워킹 시스템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된다. 강의는 기본적으로 무료 제공되며,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면 과제와 테스트, 강사 피드백이 제공되는 수료증 이수 과정으로도 수강이 가능하다. 수강료를 지불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재정지원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미국자연사박물관(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샌프란시스코과학관(Exploratorium)도 코세라를 통한 온라인 공개 수업 방식을 채택했다.
* 코세라(Coursera)는 2012년 설립된 세계 최대의 온라인 공개 수업(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플랫폼으로 MOOC 산업 부흥을 이끈 1세대 기업 중 하나다. 초창기 컴퓨터과학 분야의 강의를 시작으로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세계 200여개 이상의 대학 및 기업과의 협업 아래 외국어, 창업, 경영, 데이터과학, 예술, 디자인,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코세라 공식홈페이지
- 코세라에서 소개하는 모마의 온라인 공개 수업 전용 페이지 -
스미소니언 협회의 온라인 공개 수업
스미소니언 협회(Smithsonian Institution, 이하 스미소니언)는 에덱스(edX)*와 협업하여 스미소니언X(SmithsonianX)라는 명칭으로 16개의 주제별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강의주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박물관 및 리서치 콤플렉스인 스미소니언의 규모에 걸맞게, 환경, 기후변화, 교육, 역사, 철학, 기술, 대중문화, 디자인 등으로 광범위하다.
에덱스에는 스미소니언 소속 미술관인 워싱턴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rt)과 함께 예술을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법(Teaching Critical Thinking through Art with the National Gallery of Art)이라는 강의가 개설되어 있다. 워싱턴국립미술관은 워싱턴 DC 지역 학교 선생님들의 교습법 개발을 위해 이미 개설된 미술관의 자체 프로그램 아트 어라운드 더 코너(Art Around the Corner)와 연결하여 아이들이 예술 작품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사들의 심층 지도를 돕는 5개의 온라인 강좌를 개설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년, 과목, 교육적 배경, 미술관 방문여부에 상관없이 교사가 작품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고력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강좌로, 하버드 교육대학원의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가 개발한 예술적 사고(Artful Thinking) 교육학 방법론을 접목하여 개설되었다. 강좌는 20여개의 시청각자료와 학생과의 쌍방형 교육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구성되며, 강의에 사용되는 작품 이미지는 학습을 위해 고해상도 이미지로 제공된다.
* 에덱스(edX)는 하버드대학과 MIT가 설립한 온라인 공개 수업 플랫폼으로, 코세라와 함께 1세대 MOOC 산업 부흥을 이끈 비영리 기업이다. 2020년 7월말 집계로 전 세계 196개국 6천명 이상의 전문 강사진이 3천개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운영 중이며 수강생은 약 3천 3백만명에 이른다. 에덱스 공식홈페이지
- 워싱턴국립미술관과 함께하는 예술 매개 비판적 사고 교습 홍보 영상 -
이밖에도 스미소니언 소속 국립흑인역사문화박물관(National Museum of Africa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국립미국사박물관(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국립초상화미술관(National Portrait Gallery), 스미소니언미술관(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의 소장품을 활용한 학제간의 교육법(Interdisciplinary Teaching with Museum Objects)을 소개하며, 각 기관의 교육, 디지털 미디어, 전시, 지역프로그램 등 부서별 전문가들이 서로 협업하여 온오프라인으로 활용 가능한 강좌 내용을 알차게 구성하고 있다. 에덱스는 코세라와 마찬가지로 단기 혹은 중장기적으로 학습자가 본인의 자기계발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교육내용을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무료 강의 외에 유료 학습을 통한 수료증 발급제도를 함께 운영한다. 참고로 스미소니언은 에덱스를 통한 온라인 교육 강좌 외에도 별도의 교육전용 온라인 플랫폼인 스미소니언 러닝 랩(Smithsonian Learning Lab)을 개발하여 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온라인 리소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미소니언 랩 홍보 영상 -
칸아카데미와 스마트히스토리의 온라인 공개 수업
칸아카데미(Khan Academy)는 교육자인 살만 칸(Salman Khan)이 2008년 설립한 비영리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코세라, 에덱스와 더불어 MOOC 1세대를 대표하는 기관이다. 칸아카데미는 수학(미취학아동부터 대학생까지 단계별 강의 제공), 영어(미취학아동부터 중학생까지 단계별 강의 제공), 과학, 컴퓨터, 경제, 예술, 인문학, 생활지식, 대학입학시험준비에 이르는 과목을 주로 다룬다. 특히 칸아카데미의 미술사 디렉토리에서는 선사시대미술에서 현대미술에 이르는 미술의 역사뿐만 아니라, 권역별 미술사, 미술관에 대한 이해, 미술을 보는 방식, 미술의 창작과 보존, 문화재 보존의 문제 등 전통적으로 다뤄졌던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서부터 오늘날 미술계가 생각해봐야할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토픽을 다각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강의를 구성하고 있다. 특히 미술사 강의 영상에서는 전문가들이 미술관 내 작품 앞에서 서로 대화하듯이 현장감 있게 작품을 분석, 해석하는 방식을 취한다. 각각의 영상은 자막과 스크립트가 함께 제공되어, 학습자가 강의의 속도를 잘 따라가며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코로나 국면을 맞이하여 휴교로 인해 아이들의 학습을 책임져야 하는 교사, 학부모를 위해 일일학습계획표와 원격 학습 지도 자료를 제공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 칸아카데미의 교육 분야별 카테고리 -
- 스마트히스토리 소개 영상 -
스마트히스토리(Smarthistory)는 칸아카데미의 미술사 분과장을 역임한 미술사가 베스 해리스(Dr. Beth Harris)와 스티븐 주커(Dr. Steven Zucker)가 2005년 설립한 미술사 교육 전문 비영리 기관이다. 스마트히스토리는 미술, 역사, 대화를 키워드로 하여 미술사학자들의 학자적 시각으로 작품을 도해하면서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낸다. 앞서 소개한 칸아카데미 미술사 분과의 공식 파트너 기관이기도 하다. 칸아카데미와 스마트히스토리 모두 각각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비영리로 운영되는 이들 기관의 교육콘텐츠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참고로 칸아카데미와 스마트히스토리는 앞서 소개한 뉴욕현대미술관과 스미소니언 협회와 같이 미술관, 박물관이 주체가 되어 교육 전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공개 수업을 배급하는 방식과는 다르지만, 다양한 문화예술기관 및 미디어 기업 등과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미술 전문 교육프로그램을 생산, 운영하는 곳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무크 업계 주요 회사들(Major Players in the MOOC Universe)의 운영자산 흐름을 보려주는 그림 -
(회사 기업, 벤처캐피탈, 비영리기관, 고등교육 기관과의 협업과 투자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인포그래픽 컨셉 및 텍스트: 제리사 홀더웨이(Xarissa Holdaway), 일러스트: 나이젤 호튼(Nigel Hawtin))
새로운 미술 전문 교육기관의 탄생
온라인 공개 수업을 운영하는 교육 전문 플랫폼과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문화예술기관은 이미 오랫동안 교육을 통해 기관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면서 공공재로서의 미술관의 가치*를 실현해왔다. 하지만 이들은 앞서 《셰어 미》에서 소개된 사례들과 달리, 일반인의 접근성을 더욱 넓히고,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중장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수요자가 더욱 확실한 교육적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기관 스스로가 대안적 미술 교육기관이 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취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제 미술관은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일회성 성격의 교육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정규 과정을 통해 주제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를 순차적으로 높이고,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며, 전 과정 이수자에게 수료증을 지급하여 자기계발 및 진로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로써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미술관이라는 표현은 이제 미술관을 실제로 방문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에 한정된 개념이 아니라, 미술관이 디지털 환경 속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대안적 교육 기관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로 넘어가면서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 국내에서는 2005년 제정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 같은 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되면서 문화예술교육 수혜 환경 조성을 위한 문화예술 기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 전문인력 양성, 국제교류, 학술사업 등이 본격화 되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중반부터 국공립, 사립미술관에서도 미술관의 교육 전문 에듀케이터(educator)를 두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진행하는 등 기관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며 문화적 공공재로서 미술관이 지닌 공공성을 실천해왔다.
미술교육, 그리고 우리의 과제
세계 각국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학교가 문을 닫거나, 갑작스러운 온라인 교육 체제로의 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학과가 통폐합되었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들리는 요즘이다. 물론 폐교나 학과통합의 배경에는 학생 인구 감소, 학생들의 관심사 변화로 인한 비인기 과목의 증가, 학교 운영 자체에 대한 신뢰도 부족 등의 많은 이유로 이전부터 운영난을 겪고 있던 교육 기관들도 많았겠지만, 코비드19가 이러한 위기 상황을 더욱 가중시킨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살펴본 사례들과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체제가 일상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목도했듯이, 이 같은 변화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교육은 온라인 플랫폼을 매개로 공공의 영역에서 가장 자유롭게 벌어질 수 있는 행위이자 과정으로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성이 커졌다.
여전히 교육, 특히 미술교육은 실기라는 실질적인 수행과 기술의 연마의 과정을 통해서만 습득될 수 있는 고유의 특성이 어떻게 보완될 수 있는지,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한 현실적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등의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작품의 감상에 있어서도 전시의 맥락 안에서 눈으로 직접 작품을 대면할 때 느낄 수 있는 현장감과 감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풀 수 없는 또 다른 감각의 영역이다. 하지만 온오프라인 상의 어떠한 교육의 형태도 그 과정 안에서는 그것의 전달 방식으로 인해 감상과 배움이 지닌 고유한 가치를 폄하할 수는 없다. 이제 우리는 모두에게 주어진 위기의 상황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좀 더 적극적으로 모색해야만 한다. 결국에는 그러한 방향 설정에 따라 뉴노멀 시대의 미술교육의 새로운 기준이 세워지고, 그 시대의 가장 적절한 대안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황정인/ 미술이론과 문화산업을 공부했다. 사비나미술관과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큐레이터로 재직했으며, 현재 독립 큐레이터이자 미팅룸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예술기관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에 관심이 많으며, 지식정보를 매개로 한 다양한 네트워크의 형성, 유지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아울러 다국어 마케팅 회사인 컬처플리퍼에서 아트 프로젝트 리드로 활동하면서 언어전문가들과 함께 국내외 문화예술기관 콘텐츠의 해외 현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