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10. 구석기 외계문명설

전곡선사박물관

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수록 서울신문 2019-07-03 33면

 

구석기 박물관에서 가장 곤혹스러운 질문 중 하나는 “이거 진짜 석기예요? 그냥 짱돌 아니에요?”라는 질문이다. 일반인들이 보기에 석기와 그냥 돌은 쉽게 구분이 되지 않는다. 구석기를 전공하지 않은 웬만한 고고학 종사자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사실 석기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필자가 근무하는 전곡선사박물관은 주먹도끼로 유명한 박물관이다 보니 주먹도끼를 발견했다고 가지고 오시는 분들이 제법 있다. 그러나 죄송하게도 아직까지 한 분도 진짜 주먹도끼를 가져오신 분은 없다. 주먹도끼처럼 생긴 돌을 가져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만큼 뗀석기와 자연적으로 깨지거나 풍화된 돌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1978년,1979년 발견된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전곡선사박물관소장


이렇게 석기의 진위를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구석기 날조 사건’까지 일어날 수가 있었다. 구석기 날조 사건은 후지무라 신이치라는 사람이 70만년 된 화산재 속에다 몰래 석기를 묻어 놓고 발굴했다고 사기를 쳐 일본의 구석기 연대를 7만년에서 70만년으로 뻥튀기했던 희대의 고고학 스캔들이다. 그가 발굴한 석기들은 진짜 유물이 아닌 새로 만든 가짜 석기들이었는데 구덩이를 파고 몰래 석기를 파묻는 모습이 신문기자의 망원렌즈에 잡히기 전까지는 아무도 가짜 석기인지를 알지 못했다. 구석기시대에는 국경도 없고 민족도 없었는데 후지무라는 자기 나라에서 오래된 구석기 유적을 찾는 것이 마치 국가의 자존심을 세워주는 것이라고 잘못 생각했던 것 같다.


몇 해 전 제법 총기 있는 눈빛을 한 중년의 남성분이 자신이 쓴 책 한 권을 들고 전곡선사박물관으로 찾아왔다. 마주 앉아 얘기를 시작하자 뭔가 큰 비밀을 알려 주겠노라는 표정으로 외계의 과학문명이 이미 구석기시대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설명과 함께 책 속의 사진 몇 장을 결정적인 증거라며 보여 주었다. 문제의 사진은 흑요석으로 만든 돌날석기였다. 이 단단한 돌을 이렇게 흔적 하나 없이 예리하게 절단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고도의 과학문명이 이미 구석기시대에 존재했었고 그 문명은 바로 외계문명이라는 주장이었다. 정교하게 떨어져 나간 흑요석 돌날은 일견 외계인의 예리한 절삭도구로 잘려나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흑요석 돌날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 장인이 눌러떼기라는 진일보한 제작 방식으로 만든 석기다. 마침 15㎝가 넘는 커다란 흑요석 돌날을 눌러떼기로 떼어내는 장면을 직접 촬영한 영상이 있어 보여 주니 얼굴이 굳어지며 급히 자리를 떠났던 그분은 그 뒤로는 아무 소식이 없었다. 흑요석 석기의 정교함과 예리함을 유사과학으로 해석해서 빚어진 웃지 못 할 사건이었다.


볼테르는 나는 당신의 주장에 하나도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그런 말을 할 수 있는 자유는 존중한다고 말했다. 물론 사상의 자유는 존중하지만, 조작되거나 잘못된 증거들을 가지고 다른 사람을 현혹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이다. 그래서 가짜뉴스가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은 30년째 전곡리 구석기 유적과 인연을 이어오며 ‘인류의 진화와 구석기문화의 이해를 통한 인류의 보편적 가치 구현’이라는 박물관의 설립 이념을 추구하기 위해 실험고고학과 대중고고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오늘에 맞닿아 있는 구석기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의 서울신문 칼럼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을 원문보기로 제공합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