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걷고쓰는사람

잠시 목 축이고 가는 대부도의 쉼표

안산시 대부도 쌍계사


이방인들은 모르고 지나가는 숨은 사찰

‘쌍계사’하면 십리 벛꽃길로 유명한 하동 쌍계사를 먼저 떠올리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사실 쌍계사라는 이름의 절은 논산, 진도, 마산 등 전국에 꽤 여러 곳이 있다. 그 중 한 곳이 안산 대부도에 위치한다. 안산 쌍계사는 대중적 인지도가 다소 낮을지는 몰라도 역사가 유구할 뿐만 아니라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아미타회상도, 현황도 등의 유형문화재를 소장한, 불교계에서는 주요한 위치에 있는 사찰이다.




사실 대부도는 쌍계사가 아니더라도 볼거리가 넘치는 섬이다. ‘경기도의 하와이’라는 수식이 붙을 정도다. 그렇다보니 대부도로 나들이를 가는 사람들이 여행 코스 중 한 곳으로 쌍계사를 찾는 일은 드물다. 소풍객들에게는 대부도의 진입로인 시화방조제길부터가 여행의 시작이다. 왼편으로는 시화호, 오른편으로는 서해가 펼쳐지는 탁 트인 대로는 답답했던 가슴도 뻥 뚫리게 하는 유명 드라이브 코스다. 육지와 섬을 잇는 이 길은 내내 물 위를 지나기에 긴 다리와도 같다. 그래서 길이 끝나면, 즉 섬에 당도하면 왠지 다른 세계가 펼쳐질 것 같은 기대를 품게 한다. 물 사이를 가르는 장장 11.2km의 길, 시화방조제길을 속세에서 부처의 세계로 건너가는 해탈교와 같은 느낌이라 표현한다면 비약일까. 그러나 목적지가 쌍계사라면 그리 과장된 표현만은 아닐 것이다. 게다가 쌍계사가 자리한 대금산 북동쪽 골짜기 이름은 ‘부득골’로 이는 부처님을 얻은 곳이라는 의미의 ‘불득곡(佛得谷)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시화방조제길을 지나 대부도에 들어서면 곧바로 방아머리해수욕장과 대부바다향기테마파크가 나온다. 대다수의 캠핑족과 나들이객들은 이곳에서 발걸음을 멈춘다. 그렇지 않고 301번 대부황금로를 따라 섬 안쪽으로 더 들어가는 이들의 행선지는 저마다 다르겠지만 주민이 아니라면 대체로 해변을 향한다. 대부도 해안선의 둘레길은 ‘대부해솔길’로 명명한, 총 길이 74km의 트레킹 코스이기도 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부쩍 방문객이 늘어난 대부도의 캠핑장들 또한 주로 바닷가에 위치한다. 바다가 보이지 않는 섬 내륙은 대부분 섬이 그렇듯 주민들의 터전이며 해변으로 향하는 길목에 다름없다. 그러니 이방인들에게 있어 섬 안쪽에 아담하게 자리한 쌍계사는 잠시 쉬었다가 ‘아니온 듯 다녀가는’ 절로 그 역할을 할 듯싶다.




대금산 들머리에 자리해 등산객의 쉼터가 되기도

여행에도 쉼표가 있다면 대부도 여행에서의 쉼표는 쌍계사에서 찍어도 좋다. 쌍계사를 쉼터로써 제대로 이용하는 이들이 등산객들이다. 섬 전체를 조망하길 원하는 등산객들 대부분이 대부도의 대표적인 산인 황금산과 대금산을 연계해 찾는다. 두 산은 서로 가깝고 오르기도 수월하다. 황금산은 해발 143m, 대금산은 해발 119m로 야트막하지만 정상에 오르면 저 멀리 수평선까지 섬의 전경이 아름답게 내려다보인다. 이중 대금산의 들머리가 쌍계사다.

절에는 일주문도, 사천왕상도 없다. 8칸의 긴 행랑채 ‘심검당’이 사찰의 대문이다. 그래서 고택이나 옛 관아에 들어서는 것 같기도 하다. 조심스러운 이들은 정면의 대문이 아닌, 족히 백년은 넘었을 법한 커다란 느티나무 쪽 가장자리 길로 돌아들어가기도 한다. 느티나무 옆의 건물(교육관) 뒤편이 대금산 등산로다. 도량의 마당은 바깥에서 볼 때보다 훨씬 넓다. 건물이 몇 채 되지 않는데다 석탑도 종루도 없다보니 더욱 벙벙해 보이기도 한다.




17세기 후반 정수암(淨水庵)이라는 이름으로 창건한 쌍계사는 창건 당시 지은 건물이 남아 있지 않고 위치도 한차례 옮긴 터라 과거와 현재의 모습은 크게 다를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암자로 불러도 될 법한 작은 규모, 그리고 깨끗한 물이 있다는 점은 그대로일 듯싶다. 이 절을 쉼터 삼아 들른 이들의 눈길을 끄는 것은 사찰 중심의 극락보전이나 그 옆의 약사여래 입상 석불이 아니다. 마른 목을 적셔줄 약수가 모인 자그마한 수각(水閣)이다. 섬에서 약수는 얼마나 진귀한가.

대개 절에서 마시는 물은 감로수라 일컫지만 쌍계사의 물이 유난히 더 달게 느껴진다면 수각 앞에 섰을 때 정면에 보이는 전각을 주목할 일이다. ‘용왕각’으로 자세히 보면 수각과 연결된 호스가 이 건물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용왕각은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건물이다. 전각 안에는 거대한 바위가 있다. 지붕 아래 보호받고 있는 바위라니, 사연을 몰라도 오랫동안 신성하게 모셔져온 바위임을 짐작할 수 있다. 용바위라 불리는 이 바위 아래선 샘이 솟아난다. 전각의 바닥을 투명한 유리로 설치해 물이 솟는 바위 아래를 훤히 내려다볼 수 있다. 이방인들에게는 이 작은 절에서 마주하는 가장 인상적인 볼거리다.




용바위 약수 한 모금에 깃드는 평온함

쌍계사의 창건 설화가 이 용바위에 서려 있다. 조선 중기, 이곳을 지나던 승려 취촉대사가 잠시 휴식을 취하다 잠이 들었다가 다섯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꿈을 꿨다. 잠에서 깬 취촉대사는 꿈이 기이해 누운 자리를 파헤쳤고 곧 용바위가 드러났으며 그 밑에서 맑은 물이 솟아났다고 한다. 이를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여긴 취촉대사가 지은 암자가 바로 오늘날의 쌍계사라고 전해진다.

구전 설화지만 창건 당시 정수암이라 이름 지어진 점을 미루어보아 바위는 사찰과 관련한 가장 오래된 산물일 것이다. 소위 ‘용바위 이빨’에서 솟아나는 샘물은 철분과 탄산수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몸에 좋은 약수라고 알려져 왔다. 그래서 일부러 절에 물을 뜨러 오는 이들도 많다고 한다. 또한 바위 자체가 신성한 기도처 역할을 해 섬에 사는 뱃사람들이 안전을 염원하기 위해 자주 찾았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현재 절에서 키우는 개가 그릇에 부어준 물을 마시지 않고 제 발로 수각까지 와서 물을 핥는다고 한다. 동물도 ‘약’이 되는 물을 알아보는 모양이다. 이를 증명하듯 용왕각 옆에 자란 보리수나무는 가지가 축 쳐질 만큼 빼곡하게 열매를 맺었다.




목을 축이고 느티나무 그늘 아래서 잠시 바람을 벗하면 어느새 번뇌는 사라지고 마음은 바랄 것 없이 충만해진다. 괴로움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얻는다는 의미로 불교에서 말하는 ‘이고득락(離苦得樂)’의 상태가 따로 없다. 그제야 다른 건물들이 눈에 들어오는데 대부분 90년대에 지은 전각들이고 최근에 단청 또한 새로 한 까닭에 고즈넉한 멋으로 눈길을 끌진 않는다. 다만 아미타불을 모시는 극락보전 내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유형문화제 제181호)과 아미타회상도(문화재자료 제110호)는 조선 후기에 제작한 사찰의 오랜 유물로서 볼만한 가치가 있다.




여기도 가보세요

쌍계사의 북쪽은 방아머리해수욕장과 대부바다향기테마파크다. 방아머리해수욕장은 백사장이 넓고 주변에 화장실, 샤워실 등 편의시설을 잘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의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채취 도구를 준비해가면 썰물 때에 맞춰 바지락과 개불 등을 캘 수 있다. 대부바다향기테마파크는 시화방조제 완공으로 습지가 된 갯벌에 조성한 수변 공원이다. 공원 내 메타세쿼이아길과 테마화훼단지 등을 산책하기 좋다.




301번 국도를 따라 쌍계사 남쪽으로 내려가면 선감도가 나온다. 대부도와 떨어져 있는 섬이었으나 간척사업을 통해 하나의 땅이 되었다. 선감도는 일제강점기에 세운 수용시설 ‘선감학원’이 있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불량 학생을 교화한다는 목적으로 세웠으나 강제 노역과 고문 등의 인권 유린이 일어났던 아픈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현재는 선감역사박물관, 바다향기수목원 등이 자리해 여행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식사는 칼국수 한그릇이 어떨까. 대부도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칼국수집들이 모여 있다. 안산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인 바지락 칼국수의 본거지가 바로 대부도다. 동일한 메뉴를 판매하는 식당들이 모여있다보니 차별화한 레시피로 국수를 만들어내는 집들이 여럿이다. 그중 쌍계사와 가까운 북동삼거리손칼국수는 바지락과 닭을 함께 끓인 진한 국물의 바지락닭손칼국수로 유명하다. 개운한 바지락 육수와 진하고 구수한 닭 육수가 어우러진 국물 맛이 훌륭하다. 손으로 밀어 쫄깃한 면발도 흠잡을 데 없다. 국수를 주문하면 공깃밥과 동동주는 무료로 즐길 수 있다.


글·사진 여행작가 유승혜


중부일보 원문 바로보기


세부정보

  • 대부도 쌍계사

    위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황금로 1171 쌍계사

    문의/ 032-886-2110

@참여자

글쓴이
걷고쓰는사람
자기소개
경기도 구석구석을 걷고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누리집
https://www.youtube.com/@yooseung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