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걷고쓰는사람

‘킹 세종’에서 ‘갓 세종’으로

한글날을 기념해 찾은 영릉에서


영릉을 찾았을 때 입구에서 외국인 단체 관람객을 마주쳤다. 다인종의 10~20대 정도 되어 보이는 학생들이었는데 한국어 해설을 듣고 있기에 한국인이거나 한국어를 잘하는 외국인들이겠거니 했다. 그들은 너무나 해맑게, 영릉에 오가는 다른 방문자들과 눈이 마주 칠 때마다 “안녕하세요!”하고 크게 인사했다. 나도 얼떨결에 인사를 나누었다.

알고 보니 세종학당이 주관한 한국어 우수 학습자 초청 연수로 영릉에 방문한 해외 청년들이었다. 세종학당은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보급사업을 총괄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한국어 우수 학습자 초청 연수는 세종학당이 매년 하는 행사인데 한국으로 초청받는 외국인들은 자국에서도 높은 경쟁률을 뚫고 온 이들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부흥하면서 우리말과 한글을 배우는 외국인들은 점점 더 늘고 있다. 특히 한글은 ‘지혜로운 자는 이른 아침이 되기 전에 이해하고, 어리석은 자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고 적은 훈민정음 서문과 같이 우리말을 모르는 외국인들도 두서너 시간이면 쉽게 익히는 문자다. 한글이 세계적인 문자가 되었음을 한글 창제자 세종대왕이 안다면 정말 뿌듯하리라. 아무튼 세계 곳곳에서 한국을 방문한 청년들이 한글을 익히고 나아가 세종대왕의 무덤을 찾은 모습을 보고 새삼 우리나라, 우리 문자에 대한 자부심이 느껴졌다.



우리나라 역대 군왕 중 가장 찬란한 업적을 남긴 세종대왕의 동상. 영릉으로 향하는 길 입구에 세워져 있다.


한글은 현존하는 세계 150여 개 문자 중 창시 내력이 밝혀진 유일한 문자이며 훈민정음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또한 유네스코가 제정한 전 세계 문맹 퇴치에 이바지한 개인과 단체에 수여하는 공로상의 명칭은 세종대왕 문해상(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이다. 한글의 위대함을 굳이 더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지금 이렇게, 내가 쓰고 독자가 읽는 문장들이 이미 증명하고 있다. 이제껏 인생을 살면서 굳이 ‘롤모델’, ‘존경하는 위인’을  생각해 본 적 없고 그 어떤 위인도 완벽한 사람은 없기에 롤모델을 꼽고 닮겠다고 다짐하는 일은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심으로 존경하는 단 한 사람의 위인을 꼽으라면 나는 고민없이 세종대왕을 말하겠다.



세종대왕과 관련한 다양한 조형물이 보이는 여주한글시장. 갤러리와 공방 등 문화예술공간도 곳곳에 자리한다.


그렇다 보니 영릉 방문은 다른 왕릉과 달리 더욱 특별하게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다른 왕릉을 ‘왕릉 산책이나 떠나볼까’하는 마음으로 방문한다면 세종대왕릉은 고인이 되신 고마운 어르신께 참배하러 가는 마음이었달까. 영릉은 조선 4대왕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능으로 조선 역사 최초의 합장릉이다. 소헌왕후가 세종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 태종의 능인 헌릉 서쪽 언덕에 능을 조성했고 4년 뒤 세종이 세상을 떠나자 합장릉으로 조성되었다. 그런데 훗날 세종의 손자인 예종이 왕실 내 불운한 일들이 혹 할아버지의 묏자리 문제는 아닌가 싶어 영릉을 파보았고 능 안에 물이 가득 고여 있어 풍수지리상의 이유로 이장을 지시했다.

그리하여 원래는 현재 서초구 내곡동 자리에 있던 영릉이 여주로 옮겨진 것이다. 그런데 이장 예정 자리는 이미 세종 때부터 세조 때까지 주요 관직에 있었던 이인손이라는 인물의 묘였다. 조정에선 이인손의 후손들에게 이장을 요구했다. 왕이 이장을 청하는데 누가 거역할 수 있을까.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합장릉인 영릉. 혼유석 2좌가 있다는 것 외에는 단릉과 같은 형태로 능을 갖추었다.


홍살문을 지나 어로를 걸어 능으로 다가간다. 정자각에 이르면 높은 언덕 위로 능침의 일부만 빼꼼하게 보인다. 동구릉이나 서오릉 등에서는 가끔 날짜를 지정해 선착순으로 방문자를 모집한 후 해설사와 함께 언덕 위까지 올라 가 봉분을 눈앞에서 볼 수 있는 특별 이벤트를 진행하곤 한다. 이렇듯 일반적으로는 능침 보호를 위해 멀찍이서 능을 바라보는 관람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영릉은 정자각 뒤편으로 언덕을 따라 오르는 도래솔길이 정비되어 있다. 도래솔이란 무덤가에 둘러선 소나무를 일컫는다. 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능 왼편 에서 혼유석과 석상, 난간석 등 주변 석물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단릉의 구조를 띠고 있지만 혼유석이 2좌로 단릉이 아닌 합장릉임을 알 수 있다. 신도를 걷지 않는 것, 큰 소음을 내지 않는 것 등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는 일 외에 왕릉 앞에서 어떻게 예를 갖춰야 할지 몰라 꾸벅 고개를 숙여 인사만 하고 왔다. 다른 누구의 능도 아닌 세종대왕의 능이라서 그렇게라도 인사를 드리고 와야 할 것 같았다.



영릉의 옛 재실은 '작은 책방'이라 이름 붙인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영릉의 재실은 2020년 복원했다. 발굴조사와 지난 기록을 바탕으로 최초의 위치에 원형에 가깝도록 새로 지었다. 왕릉을 지키고 제사를 준비하는 역할을 하는 재실은 기본적으로 집무실인 재실, 제향을 준비하는 전사청, 향과 축문을 보관하는 향대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행랑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옛 재실과 복원된 새 재실은 서로 이웃하는데 영릉과 좀 더 가까운 자리의 옛 재실은 현재 ‘작은책방’이라 이름 붙인 한옥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세종대왕에 관한 책과 인문, 역사서들을 갖추고 있고 좌식과 입식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 일부러 영릉을 보러 온 사람들이 많아 장시간 앉아 책을 읽는 사람들은 드물지만 한옥의 정취를 느끼며 잠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은 많다. 왕릉 앞 책방이라니. 책방冊房은 실제로 조선시대에 출판과 인쇄를 담당한 관 청을 이르는 명칭이기도 했다. 옛 재실에서 작은 도서관으로 변신한 왕릉 앞 책방에서 다독가 세종대왕을 다시금 생각한다. 그가 한문으로 적힌 수많은 책을 읽고 나서 결심한 바는 다음과 같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노라.

내가 이를 위해 가엽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것이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영릉의 홍살문 


재주 없이 어리석은 내가 글을 써서 밥을 먹고 산다. ‘나랏말싸미’로 시작 하는 훈민정음 언해본 서문은 그조차도 현대의 말로 풀이된 것을 읽어야 이 해되지만 언제 봐도 가슴 뭉클하다. 재실을 지나 능역 입구로 나오면 세종대 왕릉 광장이다. 광장에는 세종 재위 때 발명된 과학기구들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4절기를 측정하는 규표, 천문 관측기기 혼상도와 적도의 낮과 밤의 길 이를 측정하는 간의, 해시계의 일종인 현주일구와 천평일구 등 이름이 생소 한 발명품들이 다채롭다. 측우기, 자격루만 알았지 이렇게 수많은 과학기구를 개발한 줄은 몰랐다. 세종이 과학기구 개발에 인재를 발굴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은 까닭은 백성이 농사를 짓는 데 정확한 시간과 날씨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었다. 전술했듯 어떤 인간도 완전하고 완벽할 수는 없기에 세종대왕도 성역화될 수는 없고 그가 펼친 일부 정책들은 비판받을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유산으로 세상을 배우는 나는 ‘갓세종’을 외친다. 요즘 인터넷에 서는 긍정적으로 느끼는 대상의 앞 글자를 ‘갓God’이나 ‘킹King’으로 바꿔 쓰는 유행이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너무 멋있어서 높여 부르고 싶으면 ‘갓길동’, ‘킹길동’이라고 하는 식이다. 세종은 이미 ‘킹’이라서 더 높일 수 있는 말은 ‘갓’밖에 없다.



가을에 여주보 전망대에 방문하면 유색 벼를 심어 세종대왕의 모습을 표현한 논 그림을 볼 수 있다.


글·사진 여행작가 유승혜


※ 본 글은 '경기그레이트북스' 시리즈 중 제41권 『우리들의 캠퍼스- 경기 남부로 떠나는 시간여행』, <여주시 : 왕과 강>에서 발췌했습니다.


글쓴이
걷고쓰는사람
자기소개
경기도 구석구석을 걷고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누리집
https://www.youtube.com/@yooseung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