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영은미술관

김희자展 심리학적 풍경 :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 Psychological Scenery : Homage to Tree Soul

2023-06-24 ~ 2023-09-24 / - 2023.6.24~9.24, 김희자 특별기획전 -

김희자_심리학적 풍경: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展_ 영은미술관 제1전시장_2023



영은미술관은 2023년 두 번째 특별기획전, 김희자 작가의 '심리학적 풍경 Psychological Scenery ;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 Homage to Tree Soul' 展을 개최한다. 김희자 작가는 오랜 해외 생활 동안 지독한 고립감과 외로움에 시달렸다. 작가는 오랫동안 집 앞의 숲속에서 산책과 명상을 하며 자연, 특히 나무에게서 많은 위안을 받았다. ● 김희자 작가는 자연과의 영적인 교감을 통해 드러나지 않은 이야기를 읽어내고 이를 회화 작품으로 전한다. 작품의 시작은 영감의 원천이 되는 나무가 간직해온 숨겨진 이야기를 읽어내면서 시작된다. 숲속의 나무는 고유의 '결'에 오랜 세월 동안 영혼을 기록하고 간직해왔다. 김희자 작가는 이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스스로의 마음을 비추어, 그에 어울리는 드로잉을 한다.


김희자_심리학적 풍경: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展_ 영은미술관 제1전시장_2023


김희자_심리학적 풍경: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展_ 영은미술관 제1전시장_2023


김희자_심리학적 풍경: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展_ 영은미술관 제1전시장_2023



"작가는 일반 캔버스가 아닌, 나뭇결이 그대로 드러나는 나무판 위에 아크릴로 그린다. 때로는 안료가 나뭇결 위로 짙게 덮이기도 하지만, 가능한한 나뭇결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한다. 2부작 혹은 다부작의 경우에는 그는 나무결이 서로 어우러지는 나무 판을 찾는다. 이를 위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기도, 때로는 아예 나타나지 않기도, 혹은 우연히 마치 한 그루의 나무에서 나온 듯 결이 맞기도 하다. 작가는 새로운 나무 판을 처음 마주칠 때, 나무의 전생을 보듯 나무가 담지하고 있는 풍경을 읽어낸다. 그리고 나무의 관점에서 보고 느끼고, 나뭇결 사이사이에 깊이 담겨있던 풍경이 최대한 드러나도록 묘사한다. 이러한 작업방식은, 미켈란젤로가 "나는 대리석 속에 갇힌 천사를 보았고, 그가 차가운 돌 속에서 풀려날 때까지 돌을 깎았다."라는 말을 연상시킨다." (「김희자의 심리학적 풍경_Jung, Cuspit & Wheiza」 글 중, 심은록(SimEunlog MetaLab.연구원, 미술비평가))

● 이렇듯 진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작업은 단지 심리(감정)에서 멈추지 않고, 나무와 교감하며 주고받은 작가 내면의 의식을 연구하고 밝히는 심리학적으로 이해하여 이를 풍경으로써 구현한다. 또한 김희자 작가는 평면의 나무를 자르고 이어 붙여 입체적인 구조물을 더해 수천 년 나무가 간직해온 이야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 특별히 이번 전시에는 김희자 작가의 입체회화에 디지털 인스톨레이션을 더한 설치 작품을 볼 수 있다. 관람객의 참여로 완성되는 이 작품은 작가가 생각하는 가장 완벽한 기하학적 구조인 삼각형 구조물에 회화와 영상 작업을 더한 형식이다. 관람객들은 3미터 높이의 거대한 텐트 안에 들어가 작가가 나무결에 새겨진 영혼과 스스로의 몸을 투과하는 영상작업으로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마음 이야기를 온전히 감상할 수 있게 된다.

김희자_숲의 정령을 찾아서 in search of forest spirit_ 디지털 입체 구조물_350×300×300cm_2023_부분

김희자_숲의 정령을 찾아서 in search of forest spirit_ 디지털 입체 구조물_350×300×300cm_2023_부분


김희자_환희의 춤 a dance of jubilation for joy_ 그레인 합판에 거울, 아크릴채색_120×120×16cm_2022


김희자_유칼립투스가 보낸 메세지 충만한 고독 Message from eucalyptus Full Solitude Fullness_
그레인 합판에 거울, 아크릴채색_120×120×16cm_2023

김희자_영원의 교향곡 Immortal Symphony_ 그레인 합판에 아크릴채색_120×720×8cm_2022

김희자_바람결의 속삭임 the whisper of breeze_ 혼합재료_40×240×7cm_2022

이 작품에 대해 김희자 작가는 이렇게 설명한다. "10살 즈음에 학교에서 만화경 만들기를 했을 때 조그만 공간 속에서 무수히 변하고 확장되는 색종이 조각들이 만들어내는 환상에 홀리곤 했다" 작가의 어린 시절 기억처럼 관람객들은 "환상과 삶이 함께하는 만화경을 확대"시켜 놓은 작품에 참여하여 궁극적으로 전시장의 구성을 완성한다. 이 만화경 작품과 관련해서는 루이스 부르주아, 조지아 오키프 작품의 평론으로 유명한 미국의 미술평론가 도널드 커스핏(Donald Cuspit)은 이렇게 설명한다. ●

"이 텐트[만화경 작업]는 캔버스의 형태를 3차원 공간으로 혁신적으로 확장하여, 말 그대로 예술 작품이자 은유적인 쉼터가 된다. 이전 작품에서 김 작가는 극적인 풍경이 암시하는 무한한 저 너머의 상징으로서 캔버스를 열어 그 너머의 공간이 보이고 작품에 통합되도록 한다. 텐트 안에서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이 하나가 되는, 즉 무한과 내면이 합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요컨대, 김 작가는 불교적 유산과 동양적 풍경 전통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어둠에서 빛으로, 무지에서 고요한 고상한 의식으로, 일상적 존재에서 초월적 경험으로 나아가는 어려운 영적 통로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명상적 작품을 하고 있다." (도날드 쿠스핏 (Donald Cuspit)의 글 "Cloud Pole Ville" 중)

● 이는 예술적으로 회화작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관람객들에게는 고요한 마음으로 내면을 성찰(省察)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오랜 외국 생활 동안 한국의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되새기며, 자연 속 나무와의 공감으로 비롯해서 끝없는 인내로 스스로의 내면을 쏟아내어 완성한 명상의 숲에서, 나무결만큼 다양한 우리들의 인생 이야기를 관조(觀照)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영은미술관

2023 영은미술관 특별기획展 Ⅰ
출처: 영은미술관 공식 유튜브 채널 

세부정보

  • 김희자展 심리학적 풍경 : 나무의 영혼을 찬미하다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청석로 300(쌍령동) 제1전시관

    관람시간/ 10:30am~06:00pm / 입장마감_05:30pm / 월,화요일 휴관

    주최/주관/ 영은미술관

    후원 / 경기도_경기도 광주시

    대표번호 / 031-761-0137

    대표누리집 / www.youngeunmuseum.org

@참여자

글쓴이
영은미술관
자기소개
재단법인 대유문화재단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림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크게 미술관과 창작스튜디오로 구분되어 이 두 기능이 상호분리되고 또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미술관은 한국예술문화의 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유문화재단의 설립(1992년)과 함께 200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영은미술관은 동시대 현대미술 작품을 연구, 소장, 전시하는 현대미술관 (Museum of Contemporary Art)이며 또한 국내 초유의 창작스튜디오를 겸비한 복합문화시설로, 미술품의 보존과 전시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미술관 형태를 과감히 변화시켜 미술관 자체가 살아있는 창작의 현장이면서 작가와 작가, 작가와 평론가와 기획자, 대중이 살아있는 미술(Living Art)과 함께 만나는 장을 지향목표로 삼고 있다. 종합미술문화단지의 성격을 지향하는 영은미술관은 조형예술, 공연예술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예술을 수용하고 창작, 연구, 전시, 교육 서비스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여 참여계층을 개방하고 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문화촉매공간이 되기를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