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김소산 《기계미인도》

2024-12-03 ~ 2024-12-09 / 경기예술 생애 첫 예술 선정작


김소산 《기계미인도》

2024. 12. 03. - 12. 09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1층




“기계미인도”는 에칭페인팅 기법을 통해 전통적인 미의 기준을 넘어서, 새로운 미적 가치를 탐구하는 작업이다. 상상력과 현실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자연과 기계간의 경계를 재조명하며,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과 기계의 복잡한 관계를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헬멧을 착용한 고양이는 인간의 보호 장비를 기계적 형태와 결합시킨 상징적인 존재로 고양이의 부드럽고 유연한 몸체에 덧입혀진 헬멧은 기계적 요소와의 대비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아름다움을 창출한다. 기계의 구조적 아름다움과 반복적인 패턴, 그리고 정교한 기하학적 형태들이 어떻게 미적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 작품에서 기계 부속으로 만들어진 요소들은 단순한 시각적 장치가 아닌, 기계와 인간, 그리고 자연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기계적 결합이 시각적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의 기술 발전이 인간 존재의 복잡성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고찰하게 한다.

기계와 자연, 보호와 위험, 그리고 인간과 비인간적 요소들이 서로 교차하는 복합적인 현대적 상황을 반영하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새로운 미적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탐색한다.



“Machinery Portrait of Beauty” goes beyond traditional beauty standards and explores new aesthetic values ​​through etching and painting techniques. It sheds new light on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machines at the point where imagination and reality cross each other, and visually illuminat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n modern society. A cat donning a helmet is a symbolic entity that fuses human protective equipment into a mechanical form. The helmet on the cat's soft and flexible body creates a new form of beauty through the contrast with mechanical elements.

I explore how the structural beauty, repetitive patterns, and elaborate geometric forms of the machine serve as aesthetic standards. In this work, elements made of machine parts are not simply just visual devices, but symbolically express how machines, humans, and nature interact.

It shows how mechanical combinations can be realized visually,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us to consider how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modern society are intertwined with the complexity of human existence.

The work reflects the complex modern situation where machines and nature, protection and danger, and human and non-human elements intersect, and explores the new aesthetic values ​​and meaning of existence that we must find in these relationships.







전시개요

전시명 │ 김소산 《기계미인도》

전시장소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1층(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 72)

전시일시 │ 2024. 12. 03. - 12. 09 11:00-18:00

후원 │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 본 전시는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지원하는 2024 경기예술지원 2차 경기예술 생애 첫 지원 시각예술 분야 선정작입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