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첨부하기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등록/수정에 맞게 업로드 해 주세요.
* 최대 업로드 가능 용량은 5MB입니다.
한글, 워드 파일 외 압축파일(zip)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경기문화재단
2017~2018년도 경기문화재단 국제교류 방향
『문화정책』은 경기문화재단이 국내외 문화정책의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추진하는 다양한 문화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2017년 여름부터 발행하고 있는 계간지입니다. 본문은 『문화정책』3권 논단 내용입니다. |
이경일 경기문화재단 정책실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은 경기도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처음 설립된 공공문화재단으로, 예술단체 및 예술인 지원 사업, 경기문화의 독창성을 살린 다양한 문화기획사업과 6개의 특성 있는 뮤지엄 운영 등 국내 최대의 문화예술 전문조직으로 성장해왔다. 1997년 설립 이래 경기문화재단은 크고 작은 다양한 국제교류 사업을 펼쳐왔는데, 창립 20주년을 맞는 올해 2017년, 그리고 경기 정명 천년의 해이자 경기문화의 탄생 천년의 해인 2018년을 맞이하여 향후 2년간의 국제교류 추진방향을 다음과 같이 세우게 되었다.
‘경기문화 Glocalization - 세계 속의 경기도, Global Inspiration’
그간 경기문화재단의 국제교류 사업은 대다수가 각 기관 별, 각 부서 별 독자적으로 진행되어왔으며, 재단 본부에서 국제교류 사업을 통합하는 기능이 부재했었다. 이유는 크게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 두 가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적인 요인으로는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한 담당부서 및 담당자의 변동,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예산의 불안정성이다. 이에 재단 본부 내에 국제교류의 업무도 생겼다가 없어지고, 예산 또한 계속 불안정한 상황을 겪어왔다.
올해, 조직개편에 따라 정책실이 신설되고 국제교류 업무가 정책실로 이관되면서 재단 국제교류 추진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 처음으로 행했던 작업이 지난 3년간의 공무국외출장 분석이다. 지난 3년간(2014-2016) 재단 전체적인 교류 정책의 방향이 없다보니 기관마다 독자적으로 국제교류 사업들이 진행되었다. 독자적인 그리고 자율적인 사업 진행은 실무에 있어 분명 장점도 있었지만 국제교류 사업의 시너지 효과와 사업의 확장을 이끌어 낼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재단 전체적인 차원의 해외 홍보 또한 상당히 미흡하여, 재단의 해외 인지도를 말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 그래서 네트워크의 통합적인 관리와 네트워크의 확대로도 이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공무국외출장을 분석해보니 대다수가 일방향의 국제교류였다. 이것도 수신형(Inbound)이 아닌 발신형(Outbound)의 교류였고, 국외출장의 목적은 담당 사업을 위한 벤치마킹이 다수였다. 벤치마킹을 넘어서는 전사적 교류가 많지 않았다. 2015년도와 2016년도의 경기문화재단 국제교류 업무는 문예진흥실에서 담당하였으나, 재단 전체적인 국제교류의 기능보다는 예술인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이나, 경기도 공연단체의 해외 판로 개척 지원 등 문예진흥실 고유 업무에 특화된 기획사업의 형태로 이뤄졌었다. 안타깝게도 2016년도에는 국제교류를 위한 자체예산도 없었다.
공무국외출장 분석과 더불어 행했던 것은 그렇다면 재단이 수행할 수 있는 국제교류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나열해보는 작업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국제문화교류 지표개발 기초연구』를 위해 사전에 문화예술기관으로 배포한 국제문화교류 현황조사의 분류에 따라서 국제교류 사업의 가능범위를 설정해보았다.1)
경기문화재단은 유물 대여 등의 작품교류, 공연이나 전시, 행사 등의 공동프로젝트, 국제심포지움, 레지던시 참여 등의 학술·정책 인적교류, 국제아트마켓이나 수교행사 등에서의 전시나 발표 등의 국제행사참여, 보수·보존 관련 활동과 ODA형 활동의 기반조성형, 전통문화, 한국어교육 등의 문화홍보를 할 수 있고, 또 이미 기관 별로는 이러한 분야에서 교류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었다.
국제문화교류 영역별 세부 활동 분야
1) 문화체육관광부, 2017, 『국제문화교류 지표개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혜인 연구책임, pp.57~58
대략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경기문화재단의 통합적인 2017년-2018년 국제교류의 방향이 도출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추진방향으로는 경기도 지역 특성을 살린 세계화를 위해 그리고 경기도정에 발맞추기 위하여 ‘경기문화 Glocalization–세계 속의 경기도, Global Inspiration’으로 정했으며, 이에 따른 추진방침은 국제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조성과 환류, 쌍방향 혹은 다자간 교류 프로그램 기획, 기관 별, 부서 별 정체성을 살린 교류, 본부와 기관 간 국제교류사업의 협업시스템 구축이다. 협업시스템, 달리 말하자면 국제교류의 통합운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통합운영을 통해 재단 국제교류의 확대 가능성을 점검하고 실행하기 위함이다. 기관 별 국제교류 담당자를 지정하고, 재단 본부에서는 사안 발생 시 문화예술진흥위원회나 뮤지엄운영위원회를 적극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부서 간 협력 및 사업의 확대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다. 정책실에서는 예산이나 인력 지원 등의 협력 사항을 검토하고 지원하면서 네트워크를 관리하게 된다.
경기문화재단 국제교류 프로세스
2017-2018년도 국제교류 중점 추진방침 중 첫째로는 경기천년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이며 관련 국제 전시나 교류 사업을 적극적으로 기획할 수 있도록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둘째, 2018년은 경기라는 이름이 역사에서 등장한지 천년이 되는 해이자, 개성과 강화를 도읍으로 삼은 고려왕조의 건국 110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를 기념하기 위한 남북문화교류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이를 위해, 강화역사문화센터가 소재한 인천문화재단, 그리고 역사학 분야에서 남북교류에 관심있는 300여명의 학자로 구성된 학술단체인 남북역사학자협의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고, 경기도 통일기반조성담당관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국제교류사업의 용이성과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경기도 외교정책과와의 협력이다. 경기도는 해외 자매결연도시 10개국 15개 지역, 우호협력체결도시 18개국 24개 지역이 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교류 사업을 우선 추진하는 방침을 세웠다. 비록 10년이 넘은 행사이지만 한 예로, 1999년 경기도는 스페인 카탈루냐주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였고, 2003년 스페인의 해에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경기도박물관에서 스페인 카탈루냐 소재 국립박물관 미술품 32점을 대여하여 스페인 성화 특별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올해 이러한 협력 관계를 통해 경기도 외교정책과의 해외 순방 시 재단에서는 사업 제안 및 경기도 문화예술 홍보자료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재단 전체의 공통사항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홍보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홍보 개선은 올해 중점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간 경기문화재단의 영문홈페이지는 2013년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다. 개편된 홈페이지는 구글 번역시스템을 통해 단순 영문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도였으나, 올해 경기문화재단 온라인콘텐츠 플
랫폼 ggc의 개설과 동시에 영문서비스도 대대적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오프라인으로는 국내외 유관기관(주한 대사관 및 문화원, 재외 한국문화원 등)에 홍보 브로슈어와 간행물을 지속적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국제예술문화단체연맹(IFACCA),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아시아유럽파운데이션(ASEF) 등의 국제기구 가입을 통해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백남준아트센터(Nam June Paik Art Center) 급진적 비디오전 (Radical Video) 2017 루프페스티벌 (LOOP Barcelona)
또한 문화예술, 뮤지엄, 문화유산 전문기구에 대한 인력 및 기술 교류 계획 수립을 공통사항으로 삼고 있는데 국제 전시나 교육, 회의, 세미나 프로그램의 참여, 장단기 연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올해 세계미술교육학회(InSEA), 영월국제박물관포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군사경관회의, 예술경영지원센터의 프로젝트 비아 등 다양한 학술분야에서 경기문화재단 직원들이 참석하여 발표하였다. 재단은 인적 교류 및 사업의 지속가능성 기회 확보를 위해 국외 및 국제 관련기관 MOU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미술관에서는 올해 한국-독일 현대미술교류전을 위하여 한국국제교류재단, 그리고 독일 쿤스트할레 뮌스터와 MOU를 체결하였으며, 백남준아트센터에서는 루프페스티벌 전시를 위해 스페인 카사아시아, 출판물 교류를 위해서는 독일 쿤스트할레 뒤셀도르프와 MOU를 체결하였다.
본부 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문예진흥팀, 지역문화팀, 문화사업팀, 북부문화사업단, 경기창작센터, 경기학연구센터가 속해있는 문화예술본부에서는 아트레지던시 활성화, 공공협력교류를 위한 문화 ODA 발굴 및 육성, 국내 거주 및 활동 해외 예술인의 재단 사업 참여기회 확대, 도내 예술인 및 예술단체의 해외진출 지원 등을 방향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문화재단의 아트레지던시인 경기창작센터는 일본의 AIAV, 오스트리아 KREAMS 등과 MOU를 체결하여 입주작가의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문화 ODA 사업 발굴 및 육성은 UNESCO 한국위원회를 통하여 협력하고 있다. 2015년에는 경기문화재단 문화기획자 양성프로그램인 다사리 문화학교 수료자들과 도내 예술인들이 중국 호남대학교와 함께 중국 호남성 동족마을과 화야오족 마을에 방문하여 중국 소수민족의 문화와 가치를 사회적 경제로 전환하는 방법을 지원하였고, 2016년에는 라오스 국립박물관 디지털 소장품 관리시스템 및 누리집 구축사업에 함께 참여하여 전문역량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경기도의 문화예술 진흥과 전문적인 예술인 지원을 위하여 설립된 경기문화재단은 현재 매년 공모지원사업과 기획발굴지원사업으로 예술인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 예술인(단체)의 도내 발표에 국한되어 지원하고 있어 해외 발표나 진출에 대한 지원이 몇몇 예외적인 경우에만 이루어졌다. 도내 예술인들의 해외 진출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내년에는 자체 예산을 사용해서라도 공개모집을 통해 예술인 및 예술단체의 해외 발표 지원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을 할 계획이다.
6개의 기관이 속해있는 뮤지엄은 해외 뮤지엄과의 교류 전시를 기획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았다. 경기도미술관은 올해 독일, 일본, 프랑스, 아랍에미레이트의 기관과 교류 전시를 진행했으며, 내년에는 대만 카오슝, 프랑스 모비앙 케르게닉과의 교류전이 예정되어 있다. 백남준아트센터는 재단 소속 기관 중 활발히 국제교류 사업을 기획하는 곳으로, 올해 스페인 루프페스티벌에 참여하였고, 2017-2018 한·영 교류의 해를 기념하여 영국의 Foundation Art & Creative Technology와 상호 교류 레지던시 프로젝트를 내년까지 진행한다. 실학박물관은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중국 심양고궁박물원과 협력하여 특별전을 준비 중에 있으며, 전곡선사박물관은 독일, 스페인 등과 특별전 개최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은 직원들의 역량강화 및 박물관 홍보를 위하여 미국어린이박물관협회(ACM)와 유럽 중심의 어린이 박물관 연합인 Hands o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hildren in Museums가 주최하는 컨퍼런스에 매년 참가하고 있다.
2014년 경기문화재단은 남한산성을 국내 11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시켜 경기도를 넘어 우리나라에 큰 성과를 남겼는데, 2017년과 2018년 문화유산 분야에서는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등과 협업사업 개발이라는 방향을 세웠다. 또한 ICOMOS 군사경관위원회와 같은 국제학술회의 참여나 도내 문화유산의 홍보와 효과적인 보존관리를 위하여 국제기념물기금(World Monuments Fund) 등의 국제공모전에 참가를 독려하고 있다. 참고로 올해는 세계유산 수원화성의 정조능행차 구간 내에 설치된 안양 만안교의 보존관리를 위한 국제 공모에 참여한 바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경기문화재단의 국제교류는 경기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중점 추진 방침을 통해서, 본부 별·기관 별 특성에 맞게 세부 방향대로 운영될 계획이다. 경기문화재단의 국제 문화교류 사업은 없었던 것이 아니라, 크고 작게, 그리고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간 본부 별·기관 별로 너무 각기 운영되어서 시너지 효과와 네트워크 관리 및 확대를 이루어 낼 수 없었던 것이다. 앞으로는 국제교류 사업의 통합운영을 통하여 경기문화재단이 세계 속에서 알려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2023년 상반기 “찾아가는 경기도박물관” 4월부터 추진
- 2023.4.18~7.10 상반기 운영 / 경기도 초등학교, 특수학급(학교), 노인복지시설 대상 -
2023 토요 마티네 시리즈 <최태지와 함께하는 발레 스타워즈Ⅰ- 이원국>
- 2023.4.22, 6.24, 8.26, 10.28 / 광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광명극장 -
[영은미술관] 발견된 신화 The Founding MYTH
- 2023.03.18~04.23, 정영한 개인전 -
경기도미술관, 봄맞이 ‘공원탐험 피크닉’ 프로그램 운영
- 2023.4.1~5.28, SNS 참여 인증시 선물 증정 이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