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에서 ‘판화하다’

2018-07-04 ~ 2018-09-09 / 판화하다 - 한국현대판화60년


이 글은 경기도미술관에서 개최한 《판화하다 - 한국현대판화 60년(Do Print! 60 Years of Korean Contemporary Printmaking)》 전시의 도록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국현대판화의 역사 60년을 맞이하여 선보이는 이 전시는 한국현대판화사를 대표하는 작가 120명의 대표작을 통해 한국현대판화의 흐름을 조명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조망했습니다. 전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미술관 홈페이지 gmoma.ggcf.kr 을 방문해주세요.



신장식, 한국현대판화가협회 회장



경기도미술관에서 《판화하다 – 한국현대판화 60년》을 열게 되었습니다. 판화의 정착과 확산을 주도해온 한국현대판화가협회와 경기도미술관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전시는 한국현대판화의 60년 역사를 기념하는 행사입니다.


이 전시는 한국현대판화사를 대표하는 작가 120명의 대표작을 통해 한국현대판화의 흐름을 새롭게 살펴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조망하는 자리입니다. 또한 한국현대판화가협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여서 더욱 뜻이 깊습니다.


오늘날 한국현대판화는 판화의 고유한 감수성과 풍부한 조형미가 있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현대미술사 속에서 판화는 많은 작가들의 작업매체로 지속적으로 선택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현대판화는 그들의 실험성을 끊임없이 자극하였습니다. 인류가 그림 그리는 근본행위를 직접 하는 것, 판재를 통해서 하는 것, 컴퓨터를 통해서 하는 것, 레이저 컷을 통해서 하는 것, 새로운 미디어를 통해서 하는 것, 이 모두는 새로운 예술표현의 관점에서 동일합니다. 본질은 인류가 그림을 그리지 않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판화의 4대 판법은 절대 없어질 수 없습니다. 그 개념이 새롭게 확장될 뿐입니다. 최근에는 첨단 미디어와 결합한 판화 작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현대판화는 시대정신과 교감하며 새로운 미디어와 융합하여 새로운 표현을 만들고 있습니다. 21세기의 새로운 발상까지 판화라는 매체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술가들이 판화를 통하여 작업의 폭을 끝없이 확장시켜 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의 팔만대장경으로부터 조선시대 목판인쇄문화의 발달까지 보았을 때 판화왕국입니다. 현대판화를 통해 우리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새로운 조형을 만들며, 세계에 알리는 일은 과거에서 뿐만이 아니라 앞으로도 중요한 일입니다. 한국현대판화의 발전과 변화 확산을 더욱 기대합니다.


이번 전시를 이루는데 큰 도움을 주신 경기도미술관과 경기문화재단에 감사드리며 참여한 모든 작가들과 자료를 협조해준 모든 분에게 감사드립니다.  




목차


각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콘텐츠로 이동합니다.


인사말

DO PRINT! 한국현대판화 60년

최은주, 경기도미술관 관장


경기도미술관에서 ‘판화하다’

신장식, 한국현대판화가협회 회장

기획의 글

판화하다 ― 이미지와 개념의 변주동사

강민지,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도판각인하다

부식하다

그리다

투과하다

실험하다


한국현대판화사의 개괄적 이해, 그 흐름과 좌표들

고충환, 미술비평가  

한국현대판화의 담론과 비평의 흐름(1950 - 2010)

이은주, 아트스페이스 와트 대표

다시 판화란 무엇인가? 어디까지 판화인가?

윤동천, 전시 참여작가 / 서울대 서양화과 교수

한국현대판화 60년 연대표

작가약력



세부정보

  • 판화하다 - 한국현대판화60년

    기 간/ 2018년 7월 4일(수) ~ 9월 9일(일)

    장 소/ 경기도미술관

    주 최/ 경기문화재단

    주 관/ 경기도미술관, 한국현대판화가협회

    협 찬/ ㈜삼화페인트,산돌구름

    전시총감독/ 최은주

    전시총괄/ 박우찬

    전시기획/ 강민지

    전시디자인/ 장효진

    전시어시스턴트/ 장남호

    전시연계 프로그램 기획운영 / 강민지,장남호

    홍보 / 박소현,방초아

    도슨팅/ 김금하, 김은순, 성상희, 윤미영 ,이지호, 임정숙, 전성미, 황세숙

    학예지원/ 김종길, 김지희, 박본수, 김윤서, 최혜경, 방초아, 김상은, 박소현, 안진선, 윤난영, 한정원

    행정지원/ 권영기 ,정승희, 최기영, 이문희, 이지연

    시설지원/ 강정호, 김경욱, 김정윤, 문종욱, 이상숙, 이태우, 임웅선, 정영애, 조만흥, 천정연, 한종국

    안 내/ 박혜진,강영아,강한솔

    그래픽디자인/ 11층

    가구디자인 및 사인물 제작설치/ 제로랩

    공간연출시공/ ㈜에스엠티앤에스

    작품설치/ 아트플러스

    영상촬영/ TJ Choe

    사진촬영/ 김진솔

    촬영지원/ 경영본부 미디어마케팅팀

    전시연계강연/ 고충환,윤동천,이은주

    아카이브자료 지원 및 감수/ 김봉태, 김용식, 윤명로, 한운성, 홍윤(전시 참여작가), 김내현화랑,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김종길

  • 참여작가/ 강국진, 고자영, 곽남선, 곽태영, 권복희, 권순왕, 권혜정, 김란희, 김미로, 김민호, 김병주, 김봉태, 김상구, 김서영, 김선미, 김승연, 김영진, 김영훈, 김응식, 김이진, 김익모, 김정임, 김정자, 김제민, 김종환, 김창수, 김태혁, 김태호, 김현주, 김형대, 김혜나, 김홍식, 김효, 나광호, 남천우, 노재환, 박광열, 박성미, 박영근, 박주은, 방인희, 배남경, 백금남, 백승관, 서승원, 서희선, 석유선, 성기안, 송대섭, 송인영, 신경희, 신상우, 신수진, 신장식, 신진섭, 안유선, 안정민, 안혜자, 오수진, 원정희, 육경란, 윤동천, 윤명로, 윤병미, 윤신희, 이경희, 이상은, 이서미, 이선원, 이성구, 이순희, 이승일, 이은진, 정우리, 정원철, 정장직, 정주은, 정현조, 정희경, 조정성, 주성태, 주진아, 최미아, 최성원, 최혜민, 하동철, 하원, 한경화, 한규성, 하운성, 한지민, 허문정, 허은영, 홍대의, 홍승혜, 홍윤, 홍인숙, 홍재연, 황연주, 황용진, 황인선, 황현화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