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영은미술관

중첩 Superposition 김기주展 / KIMGIJOO / 金杞炷 / painting

2024-05-04 ~ 2024-06-16 / 김기주 개인전


김기주_Assortiment_wood, combustion_n˚2401_159.3×114.5cm_2024


영은미술관은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일환으로 진행되는 영은창작스튜디오 12기 김기주 작가의 '중첩 Superposition' 展을 오는 5월 4일부터 6월 16일까지 개최한다. 김기주 작가는 일정한 높이와 너비로 나무를 재단한 뒤, 겉면만 태우거나 혹은 안료에 적셔 색을 입힌다. 이로써 만들어진 결과물들(Cubes)은 간격을 유지하며 화폭 전체를 채운다. 작가는 나무에서 나이테가 보이는 안쪽 그리고 울퉁불퉁한 바깥면을 번갈아 붙임으로써 물성 안에서 상충되는 재질과 밀도의 차이를 고루 보여준다. 인간이 개입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목재는 고유의 성질을 유지하되 작가의 의도에 호응하듯 물성은 시각적 잠재성을 내포하면서 작품으로 귀결(歸結)된다.



김기주_Assortiment_wood, combustion, acrylic_n˚2403_53.3×47.5cm_2024


 "내 작업은 인의가 한번 개입하고 자연이 한번 개입하고 다시 인의가 다시 개입하고 다시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되는 반복의 행위이다. 인의는 의도대로 작업을 하지만 자연물성과 어떻게 '조합'이 되는냐에 따라서 결과물이 항상 달라짐에 작가 본인은 항상 흥미를 느꼈다. 제목을 '조합'이라고 지음도 자연과 인의의 만남이 항상 아름다운 '조화'일 수도 없고 그렇다고 '재앙'일 수도 없어서 중의적인 단어를 선택하였다. 내 작품은 인의의 규칙성과 자연물성의 비규칙성의 조합이다." - 작가 노트 중



김기주_Superposition_acrylic on wooden panel_n˚2401_159×114cm_2024


작가는 자연과 인의의 관계성을 형안(炯眼)으로 관찰하고 자신만의 혜안(慧眼)으로 해석한다. 유학 당시에 경험한 프랑스식 정원에서 작가는 건축에 대한 흥미를 가졌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변풍경이 도시 혹은 산업화되는 과정을 바라보았다. 엄격하게 설계된 인공물은 조형학적 아름다움이 감미되었으나 오히려 재구성된 자연에 대해 생각할 계기를 마련한다. 자연은 인류에게 경이를 선사하는 한편 인간은 자연에 질서욕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함께 해온 예술은 인간의 욕구와 갈망에 대한 해답을 지속적으로 제공했으며, 작가는 조합(Assortiment)을 통해 자연과 인류의 필연적 공생에 대한 고민을 시각화한다.



김기주_Reveal_combustion, pigment on wooden panel_n˚2302_159×114cm_2023


수평과 수직으로 구성된 고정된 규율(배열,Grid)과 반대로 작가의 신작에서는 인의를 제거하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더하는 것보다 덜어내는 것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과 같이, 단순화로 나아가는 방향은 작가에게 더 많은 작업적 고민을 요구한다.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은 구식체계를 쉽게 몰아내는 반면 예술은 다른 예술도 대치되지 않고 항구적인 가치를 획득하는 것과 같이 작가가 내면의 깊이에 집중하면 할수록 작품은 경계를 흐리며 인의가 아닌 새로운 무언가로 떨어져나와 독자성을 획득한다. 작가는 이러한 틈새를 파고 들어 미적인 질서를 구축하고 보는 이들이 작품 안에서 새로운 감각의 원천을 탐색하길 바란다.



김기주_중첩 Superposition展_영은미술관_2024



김기주_중첩 Superposition展_영은미술관_2024


'자연'의 통상적 범주는 확장되는 반면 김기주 작가가 생각하는 자연의 대표적 물성은 '나무'로 한정되어 있다. 이 물질은 그대로의 성질을 집약한 형질보다는 조화와 재조화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결과이며, 본성을 유지하며 작품으로 승화된다. 또한, 조감도적인 시선으로 한발 치 떨어져 자연을 관찰하는 작가의 태도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이야기로 확장된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자신만의 미적언어를 통해 자연과 그 자연에 종속된 인류가 밟아온 역사를 짚어내고 숨겨진 가치와 의미를 생각해볼 계기를 마련한다. 그리고 이는 또 다른 동행으로 이어져 오랫동안 간직될 것이다.



영은미술관 Vol.20240504d | 김기주展 / KIMGIJOO / 金杞炷 / painting

바로가기 영은미술관 누리집


세부정보

  • 2024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개인전(12기)

    주최주관/ 영은미술관

    후원/ 경기도, 경기도 광주시

    관람시간/ 10:30am~06:00pm / 입장마감_05:30pm / 월,화요일 휴관

    위치/ 경기도 광주시 청석로 300 (쌍력동 8-1번지) 제4전시장

    문의/ 영은미술관(+82.(0)31.761.0137

글쓴이
영은미술관
자기소개
재단법인 대유문화재단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림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크게 미술관과 창작스튜디오로 구분되어 이 두 기능이 상호분리되고 또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미술관은 한국예술문화의 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유문화재단의 설립(1992년)과 함께 200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영은미술관은 동시대 현대미술 작품을 연구, 소장, 전시하는 현대미술관 (Museum of Contemporary Art)이며 또한 국내 초유의 창작스튜디오를 겸비한 복합문화시설로, 미술품의 보존과 전시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미술관 형태를 과감히 변화시켜 미술관 자체가 살아있는 창작의 현장이면서 작가와 작가, 작가와 평론가와 기획자, 대중이 살아있는 미술(Living Art)과 함께 만나는 장을 지향목표로 삼고 있다. 종합미술문화단지의 성격을 지향하는 영은미술관은 조형예술, 공연예술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예술을 수용하고 창작, 연구, 전시, 교육 서비스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여 참여계층을 개방하고 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문화촉매공간이 되기를 지향한다.